총선이 끝나자마자 공기업과 정부산하 기관에 인사태풍이 불고 있다.

한전 주공 사장이 사의를 밝혔고 국민연금공단 등 다수 기관장들의 사표가 엊그제 일괄 처리돼 교체폭도 상당히 크리라는 전망이다.

기관장 인사는 공기업의 경영 혁신과 직결되고 향후 민영화 프로그램과도 바로 이어지는 사안이다.

교체폭뿐 아니라 임명방식과 후임자에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특히 이번 공기업과 기관장 물갈이에 주목되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다.

주된 관심사는 어떤 인물들이 새로 기용돼 공기업경영을 혁신(革新)시킬까 하는 점이다.

그간의 경험을 보면 선거때 논공행상에 따른 낙하산인사 시비에다 전문성과 자격 논란이 늘 뒤따르는 게 이 분야다.

이번에는 그런 말이 나오지 않을 수 있을지 두고 볼 일이다.

다만 전문성과 업무추진력을 갖춘 역량있는 인사를 기용해야 한다는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투명한 절차도 물론 중요하다.

보은인사,자리나눠먹기라는 과거의 비판을 듣지 않으려면 적임자를 발굴하되 형식적인 공모제도는 배제하는 등 과정까지 무난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다른 하나는 과연 기존의 공기업 경영진들을 임기에 상관없이 물갈이해야 하느냐는 점이다.

사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정권의 향배(向背)와는 상관없이 임기를 마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정부 권력과 관계없이 가장 적합한 인물이 임명됐다는 전제가 성립돼야 한다.

문제는 현실이 그렇지 못하다는 데 있다.

그런 점에서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는 공기업 경영진들의 '중도하차'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원칙확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덧붙이자면 인사문제로 논란이 가중되고 시간만 오래 끌어서는 안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