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연간 35만개 신규 일자리 창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인가.

참여정부 집권 마지막 달이었던 2월 신규 고용 성적표가 26개월 만의 최저치인 21만명에 그친 것으로 나오면서 회의적인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다.

'35만명 내외'라는 정부 목표는 어려워진 경제 여건을 감안해 당초 대선 공약이었던 60만명 수준에서 크게 후퇴한 것이지만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자영업 몰락ㆍ건설근로자 빈손

더욱 걱정인 것은 상대적으로 취약 계층에 속하는 건설근로자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자영업자들이 몰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12일 발표된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건설경기 부진으로 건설업에서 일자리가 12만명(0.7%) 순감(純減)했고 도소매ㆍ음식ㆍ숙박 등 자영업에서도 29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만약 전체 일자리 증가폭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들 영세업종의 일자리가 줄었다면 고용구조의 개선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처럼 신규 고용 창출이 둔화되는 가운데 자영업과 건설업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현상은 전형적인 경기 하강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자영업자가 많이 줄어든 것은 생산자 물가가 뛰는 가운데 소비는 둔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현장에서는 자영업자들의 비명 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서울 구로동 A피자는 문을 연 지 6개월을 못 넘기고 폐업했다.

밀가루 가격이 치솟는 등 부대비용은 급등하는데 주변 경쟁은 심화돼 도저히 채산성이 맞지 않아서다.

이 가게 점주는 "주변 피자가게는 물론 분식점 액세서리점 등의 주인들이 죽을 맛"이라며 "가게를 김밥전문점에 바로 넘길 수 있었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음식업은 특성상 온 가족이 매달리는 경우가 많아 가게 한 곳의 폐업은 여러 명의 실업자를 양산한다.

고용동향에서도 가족의 사업을 돕는 이를 뜻하는 '무급가족종사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3만명(-4.1%) 줄었다.

◆구직활동 포기자도 속출

취업을 준비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로 남아 있는 인구도 점차 늘고 있다.

2월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집계를 보면 '취업을 위한 학원ㆍ기관 통학'을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 이가 전년동기대비 35만명(17.2%)이나 급증했다.

고용 여건이 전반적으로 어렵다보니 대학을 졸업하고도 당장 구직활동에 나서지 않고 준비에만 몰두하는 이가 늘어난다는 얘기다.

청년층에서 새로 일자리를 얻는 이들은 많지 않은 데도 2월 청년실업률은 7.3%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0.5%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실업률 집계가 구직활동자 중 실업자의 비율을 따지는 것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구직활동에 아예 나서지 않는 이들은 실업자로 잡히지 않기에 체감 실업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취업포털들의 조사에서는 청년층의 취업률이 저조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가 지난달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자 1023명을 대상으로 한 취업률은 57.9%로 전년도(2006년)의 62.8%보다 악화됐다.

커리어 관계자는 "실제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구직자들이 졸업 후까지 각종 자격증이나 외국어 점수 획득에 몰입하면서 취업을 유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이런 현상이 취업률 저하로 악순환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차기현/김동욱/김진수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