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어제 외교통상부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그간의 외교정책과 방향을 강도높게 질타하고 국익을 위한 외교 패러다임의 변화와 자원외교를 거듭 주문했다.

산적한 경제현안과 국내외 여건의 심각성을 감안할 때 에너지ㆍ자원외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 중심역할을 외교부가 수행해야 하는 것 또한 두말할 필요도 없다.

사실 외교부는 그동안 외교의 지평을 넓히고 교류국을 다변화하겠다고 기회있을 때마다 강조해왔다.

하지만 급변하는 세계 정세의 흐름에 얼마나 창의적ㆍ실용적으로 대응해왔는지,어떤 성과를 거뒀는지 심각하게 반문(反問)해보지 않을 수 없다.

에너지ㆍ자원위기는 이미 가시화되고 있는데 에너지와 식량 부국으로 분류되는 제3세계 나라중 특별한 우방이라거나 관계가 돈독한 국가는 쉽게 보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말 리비아가 사하라사막 유전에 대한 우리 기업의 지분을 11.7%에서 7%로 낮추라고 일방적으로 요구해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우리 자원외교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따라서 자원외교 역량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경제적 동맹'을 확산시켜 나가는 것은 한시도 미룰 수 없는 과제다.

대통령은 이미 총리에 대해서도 같은 주문을 해온 만큼 국익과 경제에 초점을 맞춘 자원외교에 집중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것이 실용외교의 최우선 과제이다.

특히 지금 우리는 곡물과 광물,석유와 가스의 장기 물량 확보를 위해 중앙아시아,남미,아프리카 등 취약지역을 바로 파고드는 외교무대의 확장이 어느 때보다 절실(切實)한 형편이다.

정상외교 등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필요에 따라 민간전문가를 외교직,통상직에 과감히 전진배치하는 임용 시스템도 대책으로 강구해볼 만하다.

나아가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 예산뿐 아니라 민간자본까지 특정 국가의 개발에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 또한 시급한 과제다.

일본은 수십년간 낙후한 동남아 등에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 유ㆍ무상 원조를 해왔고,중국도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오래전부터 자원 대륙 아프리카에 공을 들여왔다.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