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시장이 무기력한 모습이다.

주도주가 눈에 띄지 않고 주도세력도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자신감도 없는 '3무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꼼꼼히 뜯어보면 지금의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는 변수는 의외로 많다.

그 중 하나가 환율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미국 달러화는 거의 모든 통화에 대해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달러평가지수를 보면 197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달러 약세가 6개월~1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수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 하반기부터는 미국과 세계 경기 안정에 점진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수출은 통상 세계 경기에 70%,환율에 30%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처럼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세계 경기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이번 사태의 진원지인 미국 경기가 안정을 찾으면 한국의 경기와 증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달러가 약세를 보여도 원화가 강세를 나타내면 대미 수출은 늘어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모기지 부실로 '마진 콜'(손실 투자원금을 보전해 달라는 요구)이 발생한 미국 금융사들이 한국 등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는 '디 레버리지' 과정에서 원.달러 환율은 940원 이상으로 올랐다.

환율이 대미 수출에 크게 불리하지 않음을 뜻한다.

지금처럼 미국 이외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다른 지역에 대한 수출이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이종 통화의 환율 움직임도 중요하다.

결제 통화만 다변화돼 있으면 수출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대표적으로 원.엔 환율은 1년 전에 비해 100원 이상 올랐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원.위안 환율,원.유로 환율도 마찬가지다.

달러 대비 경쟁국 통화는 강세를 보였어도 원화는 약세를 보이거나 상대적으로 강세 폭이 작았기 때문이다.

환율이 현 수준에서 크게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

서브프라임 부실에 따른 미국 금융회사들의 잠재 부실 규모가 3000억달러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데 비해 지금까지 상각 규모는 1000억달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한국 등에 투자했던 미국계 자금의 이탈이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또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빠르게 개선되는 반면 한국의 경상수지는 국내 전망기관들의 예측대로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적자로 돌아서면 외환 수급 면에서도 달러 수요 우위 현상은 쉽게 풀리지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올해처럼 기업과 금융사들이 일제히 글로벌화를 기치로 내세우는 상황에서는 달러 수요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서브프라임 부실이 유럽,일본 등 다른 선진국으로 전염될 경우 국내 외환시장에서 유로화 엔화 등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이종 통화 환율은 우리 수출에 더 유리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금은 환율 면에서 유리하더라도 서브프라임 부실에 따른 미국 경기 침체와 중국의 긴축 정책 영향 등에 압도돼 수출업종이 불리하다.

하지만 올 하반기 이후 미국과 세계 경기가 안정되고 유리한 환율 움직임까지 겹칠 경우 수출업종이 우리 경기와 증시 안정에 크게 기여하는 효자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객원 논설위원.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부소장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