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7일 새만금 간척지의 토지 용도를 완전히 뜯어고치기로 한 것은 이 지역을 서해안 핵심 물류.산업.관광 복합도시로 본격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강조해온 '새만금의 한국의 두바이화' 구상이 내달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실천 단계로 들어가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본지 2007년 12월 24일자 A5면 참조

무엇보다 토지 용도 변경 내용이 파격적이다.여의도 면적의 140배에 달하는 새만금 간척지는 지금까지 72%가 농지로 묶여있었다.나머지 28%의 토지에 한해 산업용 등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새만금을 서해안 경제중심도시로 키우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이어졌던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인수위는 72%이던 농지 비율을 30%로 낮추는 대신 28%에 불과하던 산업 및 관광개발용지를 70%로 늘렸다.인수위 관계자는 "새만금을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중국과 소통하는 경제자유기지로 키우기 위해서는 지금의 토지 사용 비율로는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먼저 그동안 표류해온 새만금 신항만 건설사업이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인수위는 이를 위해 새만금 내 2010㏊의 면적을 30만t의 배나 드나들 수 있는 해양물류단지로 지정했다.인수위는 신항만 건설을 위해 중동지역 등의 외자를 적극 유치할 방침이다.

이어 방조제 주변 1240㏊를 다기능 복합부지로 조성,산업 및 관광 단지 등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세부적으로 △글로벌 업무지구 조성 △산업자유지구 국제물류 및 농업과학지구 조성 △국제관광지구 배후도시 조성 등 3단계로 개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인수위는 새만금 완공을 앞당기기 위해 필요한 구간부터 방조제 공사를 조기에 실시하기로 했으며 구체적인 일정은 새 정부 출범 직후 확정하기로 했다.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또 "새만금 상류지역에 대한 상세 수질대책을 2010년까지 마련하고 축산단지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를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인수위 새만금팀은 이날 새만금 사업현장을 방문,환경오염 실태 등을 둘러봤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