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국정 전반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대통령과 광역단체장들이 주요 현안을 놓고 협의하는 국정협의기구를 상설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에너지ㆍ금융 관련 공기업을 대거 민영화하는 한편 글로벌 경제 시대에 적극 대비하기 위해 영어 공영방송 채널 설립도 적극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당선자의 핵심 참모들은 지난 23일 '대외정책과 작은 정부'를 주제로 한국경제신문과 가진 좌담회에서 차기 정부의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이달곤 서울대 행정학 교수는 이날 "이 당선자는 서울시장 재직 시절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의사소통이 미흡한 데 따른 문제점을 절감했기 때문에 지자체가 국정 현안 전체에 제도적으로 참여하는 상설 국정협의기구를 만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지금도 대통령과 시ㆍ도지사 간의 여러 협의 채널이 있지만 거의 가동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뒤 "차기 정부는 민선 광역단체장들을 내각에 준하는 국정 운영 파트너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특히 "지자체에는 상당한 재정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어디에 투자할지가 국가경제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이 당선자가 이 문제를 잘 파악하고 있고,복안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중앙권력은 여당이 쥔 반면 서울시 경기도를 비롯한 주요 광역지자체를 야당(한나라당)이 장악하면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시너지를 내지 못한 것은 큰 문제였다"고 설명했다.

또 "이 당선자는 공기업 공사 공단 협의회 등의 형태로 숨어 있는 준(準)공공부문을 정부 부문에서 떼어내 민영화한다는 방침이 확고하다"며 "특히 에너지와 금융 부문은 민영화에 따른 가격 인상과 경제력 집중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을 전제로 민영화를 적극 진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당선자의 국정 기조를 짜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유우익 국제정책연구원 원장(서울대 지리학 교수)은 차기 정부가 글로벌 경제 시대를 적극적으로 선도한다는 의지를 표방한 만큼 영어의 생활화를 촉진하기 위해 영어 공영방송 채널을 추가로 만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