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를 이끄는 지도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은 A4용지 8쪽 분량에 37문항에 이르는 방대한 설문조사였음에도 응답자들이 매우 적극적으로 임하는 등 반응이 뜨거웠다.

특히 공공부문 개혁에 대한 주관식 응답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인사들이 많았다.

한성대 이창원 행정학과 교수는 "차기 정부조직이 적정한 '통제의 폭'을 충분하게 고려하면서 대부처주의를 추진하면 현재의 정부 부처 간의 높은 벽을 헐어 일반 시민과 기업들이 요구하는 산업융합,기술융합,서비스융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 조직이 지나치게 세분화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많은 낭비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참여정부가 추구했던 고도비만형 정부의 문제점을 많이 해소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산업융합(convergence)과 기술융합,서비스융합 등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하나의 중요한 도구로 부처 간 통합을 기반으로 한 대부처주의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반면 나종규 여신금융협회 회장은 "부처 개편보다는 인력 감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임성주 C&그룹 부회장은 "지나치게 성급한 변화는 부작용을 초래한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공무원 인원 수에 대해서는 재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많았다.

김종갑 하이닉스 사장은 "공무원 수는 많은 편이 아니며 불필요한 정부 개입과 규제 축소가 관건"이라고 밝혔고 김종석 한국경제연구원장은 "남는 곳에서 모자라는 곳으로 재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공무원 인건비가 매년 7%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에 대해 변재신 C&우방 사장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것에 반대한다"며 "공무원 시스템에 경쟁과 아웃소싱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현무 NAOS 대표는 "현재 공무원의 급여나 복리후생 수준이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월등히 좋다"며 "공무원 급여 인상은 결국 국민의 조세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기 때문에 인건비 총액으로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