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의 경제협력이 밀착관계로 발전할 조짐이다.

두 나라는 사상처음으로 고위급 경제대화를 개최,환경기술과 지식재산권 분야 등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의 전방위적인 밀월분위기 속에서 열린 이번 회담은 동남해안의 가스전 개발 문제로 이견을 노출하긴 했지만 양국 간 경제협력이 보다 긴밀해지는 전기가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협력 공동승리와 협조 발전'을 주제로 지난 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최된 두 나라의 고위급 경제대화에는 중국 쩡페이옌 부총리와 일본 고무라 마사히코 외상을 단장으로 양국 주요 경제부서의 장관들이 참석했다.

쩡 부총리는 양국 간 무역증가 속도가 다소 둔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환경ㆍ에너지절약 분야 기술개발 협력 △무역 투자협력 △양국 기업 간 협력 확대 △아시아 및 국제 경제문제 협력 등 4대 분야의 협력과 합작 강화를 제의했다.

그는 또 일본이 중국에 완전한 시장경제지위를 부여해 줄 것을 요구하고 일본 기업의 중국 내 투자경영환경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무라 외상은 이에 대해 양국의 경제관계는 앞으로 더욱 긴밀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지적한 뒤 윈윈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중ㆍ일 간의 고위급 경제대화는 지난달 말 열린 유럽연합(EU)과 중국 간의 정상회담이나 그동안 두 차례 열린 미국과의 전략적 경제대화가 긴장 속에서 진행됐던 것과는 달리 시종 우호적인 분위기가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고무라 외상이 중국의 위안화 절상속도에 문제를 제기하고,양국의 현안인 동남해안의 가스전 개발문제에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그러나 미국이나 EU와의 회담이 위안화의 가치평가 문제 등을 둘러싸고 팽팽한 설전이 벌어졌던 것과는 달리 이번 회담에선 양국이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은 일본 기업들이 투자자 보호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대중 투자를 꺼리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투자환경을 대폭 개선하겠다는 뜻을 먼저 밝히기도 했다.

일본 언론들은 양국관계가 '경제는 뜨겁지만 정치가 소원한' 정냉경열(政冷經熱) 관계에서 '정치도 경제도 뜨거운' 정열경열(政熱經熱)의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친중파'인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는 이달 하순이나 내년 초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며,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도 내년 4월 일본을 답방하는 등 양국 정상들의 방문외교도 이어질 전망이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