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콜금리 목표치를 현 수준(5.0%)으로 석 달째 동결했다.

국제금융시장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에 따른 신용경색 우려가 여전한데다 고유가로 인한 물가압력과 세계경제 둔화(鈍化) 가능성 등의 대내외 여건을 감안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콜금리 동결은 당연한 선택으로 여겨진다.

최근의 시중금리 오름세를 반영해 콜금리를 인상할 경우 간신히 회복세를 이어가는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는 까닭이다.

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을 좌우하는 환율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게 뻔하다.

그렇지 않아도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0.5%포인트에 달하는 상황에서 콜금리를 올린다면 달러당 900선마저 붕괴되며 수출경쟁력에 치명타를 가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

내달엔 대통령선거도 예정돼 있는만큼 올해중 금리가 추가 인상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 같다.

하지만 내년엔 상승추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앙등하고 있는데다 중국 물가도 뜀박질을 계속하며 국내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는 탓이다.

한은이 내년 물가상승률을 3% 이상으로 내다보면서 현재의 콜금리 수준을 고점(高點)으로 간주하지 않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다.

하지만 금리인상에 대해선 우려를 감추기 어렵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곳곳에서 경기 둔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는 까닭이다.

재정경제부가 어제 발표한 경제동향보고서(그린북)를 보면 완만한 경기회복세기 지속되고 있지만 산업생산,서비스업활동,설비투자 등은 증가세가 더뎌지거나 감소세로 돌아선 형편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올해 4.8%를 기록한 후 내년엔 4.6%로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정부와 금융당국은 경기회복세를 유지시켜 나가는데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특히 경기회복세를 이끌고 있는 수출과 소비에 악영향을 초래할 금리인상에 대해선 최대한 신중(愼重)을 기해야 할 것이다.

IMF가 "한국은 가계부채 비율이 높아 금리가 인상되면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같은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는 상황이고 보면 더욱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