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5%라고 말하지만 4%대로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오는가 하면 2020년대에는 2%대로 추락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까지 대두되고 있다.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그 기저를 파고들면 결국 맞닥뜨리게 되는 것이 바로 사람의 위기, 인재(人材)의 위기다.

저출산·고령화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도 가장 빠르다.

산업구조는 급변하고 있는데도 대학교육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핵심인재는 해외에서 데려와도 부족할 판인데 오히려 해외로 빠져나가기 바쁘다.

어디 그뿐인가.

우수 인재들이 이공계,제조업을 기피(忌避)하는 현상이 개선되기는커녕 되레 심화되고 있다.

성장잠재력이 갈수록 고갈되어 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결과다.

이를 바로 잡지 않으면 우리의 미래가 암담하다.

대통령이 되겠다고 한다면 이런 문제들의 심각성부터 제대로 인식하고 인재양성의 틀을 새롭게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첫째, 경직적이고 규제 위주의 교육시스템을 혁파해야 한다.

선진국들이 경쟁적으로 수월성 강화 쪽으로 나서고 있고 중국도 그렇게 하고 있는데 언제까지 우리나라만 평준화 위주 교육정책에 구속받을 것인가.

정치적 도그마로 변질된 3불정책에 대한 결단도 요구된다.

대학을 규제의 굴레에서 해방시켜야 한다.

입시제도부터 시작해 정부가 일일이 간섭하는 환경에서 창의성을 기대할 수 없다.

산업계의 인력 수요와 대학교육간의 괴리를 좁히는 대책도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둘째, 글로벌 시대에 맞는 인력수급 정책을 펴야 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는 인재확보 없이 금융허브, 교육허브, 의료허브, R&D 허브를 이야기하는 것은 말 장난에 불과하다.

100만 외국인 시대를 맞아 단일민족주의를 탈피해야 하고, 인재 확보를 위해서라면 국적법(國籍法)도 과감하게 바꿀 수 있어야 한다.

내부를 세계화하면 인재가 몰려든다는 것은 아일랜드가 보여주고 있지 않은가.

셋째, 우수한 인재들이 이공계로 몰릴 수 있도록 획기적인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전국의 치·의대를 다 채우고 나서야 이공계로 가는 현실을 이대로 방치해선 안된다.

이공계 영재교육을 더 확대해야 한다.

이공계 교육을 혁신(革新)하고, 사회 각 부문에서 이공계가 대우 받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내지 않으면 안된다.

그외에도 여성 및 고령인력의 활용, 평생교육시스템 정립 등 우리가 직면한 과제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번 대선에서 국민들은 인재와 관련한 후보들의 공약과 의지를 보고 누가 장기비전을 가진 정치지도자가 될 수 있을지를 판단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