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997년 2월 이후 10년여 만에 최고 수준인 5.6%를 기록했다고 한다.

올들어 중국의 소비자물가가 급등,이미 연간 억제 목표치 3%를 훨씬 넘어서면서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중국이 세계 물가 안정에 공신역할을 해온 점에 비춰볼 때 이러한 물가폭등이 중국산 수출상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자칫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몰고 오지 않을까 참으로 걱정이다.

특히 중국은 올들어서만 이미 세 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하는 등 긴축(緊縮)정책에 매달려온 상황을 감안하면 더욱 그러하다.

중국은 경기과열을 식히기 위해 그 동안 금리인상을 비롯 위안화 평가절상 등 갖가지 정책 수단들을 적극 활용해 왔다.

그런데도 올 들어 경제성장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물가 또한 계속해서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급속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인상과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위안화 평가절상과 같은 고강도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이 우리나라에 미칠 충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중국이 긴축정책을 추진하면서 소비와 투자가 위축될 경우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어느 나라보다 높은 우리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특히 금리인상은 중국 현지에 진출해 있는 국내 업체들의 영업활동을 위축(萎縮)시킬 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투자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중국산 수입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기회에 우리 정책당국과 경제주체들은 중국발 인플레이션이 몰고 올 파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중국의 정책변화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등 대응책을 서둘러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