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 국제금융시장 발목 잡아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로 인한 자금시장 경색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

26일(현지시각) 미국과 유럽의 주요 증시는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로 야기된 기업 대출 연기 등 신용시장 경색이 확산되면서 동시에 급락했다.

뉴욕 증시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등 주요 지수는 이날 한때 3%를 넘는 폭락세를 보이기도 했고 유럽의 주요 증시도 2~3%나 떨어졌다.

잠정집계에 따르면 이날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위주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에 비해 311.50포인트(2.26%) 하락한 13,473.57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이날 장중 한때 420포인트 넘게 하락해 2001년 3월 이후 최대의 낙폭을 기록하기도 하면서 지난 19일 1만4천선을 넘은 이후 5거래일 만에 1만3천400선으로 내려앉았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48.83포인트(1.84%) 내린 2,599.34를 기록해 2천600선이 무너졌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35.43포인트(2.33%) 하락한 1,482.66을 기록해 1천500선이 붕괴됐다.

이날 뉴욕 증시의 하락폭은 지난 2월27일 다우지수가 416포인트 하락하는 등 중국발 악재로 3% 이상 폭락한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이날 유럽의 주요 증시도 서브프라임모기지 발 신용시장 경색이 확산되면서 런던증시가 3% 넘게 폭락하는 등 크게 떨어졌다.

영국 FTSE100 지수는 6,251.20에 거래를 마쳐 전날보다 203.10포인트(3.15%) 하락했다.

독일 DAX 지수도 183.59포인트(2.39%) 내린 7,508.96에 거래를 마쳤고 프랑스 CAC40 지수도 5,675.05로 162.06포인트(2.78%) 떨어졌다.

이날 증시 급락은 최근 세계 증시의 상승세를 이끈 기업 인수.합병의 자금줄이었던 차입매수(LBO) 등에 필요한 대출채권 등의 발행이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사태 이후 투자자들의 참여 저조로 잇따라 무산되는 등 국제 금융시장의 자금 흐름이 경색되는 조짐이 확산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투자자들이 최근 서브프라임모기지 담보채권 손실 등을 목격하면서 고수익.고위험 채권에 대한 투자를 꺼리면서 자금줄이 마르고 있는 것이다.

제너럴모터스(GM)가 사모펀드 칼라일그룹과 오넥스에게 매각키로 한 앨리슨 트랜스미션의 차입매수(LBO)를 위한 31억달러 규모의 채권 발행이 연기된데 이어 사모펀드 서버러스 캐피털에 인수된 크라이슬러의 대출도 연기되면서 신용시장의 경색 우려는 최근 계속 커지고 있다.

크라이슬러는 서버러스에 매각되는 것에 맞춰 대출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려 했으나 대출 작업을 맡은 JP모건체이스 등 은행들이 크라이슬러 대출 채권을 사려는 투자자들을 확보하지 못해 대출이 연기되게 됐다.

크라이슬러가 대출 이자율을 높게 책정하는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출이 연기된 것은 서브프라임모기지 관련 채권 시장의 위기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험도가 높은 채권을 사려는 투자자들이 사라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호주의 헤지펀드인 앱솔르트캐피털은 일드 스트래티지스 펀드의 상환을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과 신용경색으로 10월말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은 신용시장 경색으로 최근 5주간 최소 35개 기업의 대출이 차질을 빚었다고 전해 신용경색으로 인한 기업의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음을 반증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코웬 앤드 코의 애널리스트인 마이크 말론은 신용 우려가 지속되는 것이 증시에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최근 신용시장의 우려를 키우는 사례들이 잇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연합뉴스) 김현준 특파원 ju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