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과 공공기관 감사들의 외유성 남미 출장 파문이 커지고 있다.

당사자들이 일정을 취소하고 귀국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기획예산처 등 관계당국은 물론 청와대까지 나서서 진상을 규명(糾明)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예산유용 등의 사실이 밝혀지면 철저히 문책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런 사태가 벌어지게 된 근본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사건이 공기업 감사들의 도덕적 해이에 의해 저질러진 일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무엇보다도 공기업 감사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합당한 인사들이 임명됐느냐 하는 점부터 따져볼 일이다.

그렇지 않다는 게 우리 판단이다.

남미 출장을 추진한 공공기관 감사포럼 소속 상임감사의 70%가 청와대에 근무했거나 열린우리당 등에서 활약했던 구 여권 인사들로 회계감사 분야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던 사람들이라고 한다.

적절한 인사라고 보기 어렵다.

이를 바로잡는 것이 이번 사건의 근본대책이라고 본다.

예산처는 공기업 감사 평가제도를 도입하는 등 인사 및 감독절차를 강화한다고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공기업 감사에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사만이 임명될 수 있도록 명확한 자격기준을 세우는 것은 물론 검증(檢證)작업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아울러 상임감사에 대한 견제 차원에서 외부감사제도 보완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