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노사 화합을 선언한 사업장이 잇따르면서 노사분규 발생 건수도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임금 동결을 자청하거나 임금 인상 여부를 회사 측에 위임하는 노조도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상생(相生)의 노사문화가 싹트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노동부는 올 들어 지난 3월 말까지 노사가 산업평화 정착에 앞장서기로 결의한 곳이 300여곳에 이른다고 밝혔다.

일부 기업이 경영난 타개 차원에서 노사화합을 다짐했던 예년과는 달리 올 들어서는 경영실적이 좋은 기업에서도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약속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더구나 올해 1·4분기 노사분규 발생 건수가 12건에 그쳐 2003년부터 최근 5년 사이에 가장 적었다는 것도 고무적인 현상이다.

노동운동이 투쟁만능주의에서 탈피,노사간 상호 신뢰와 협조로 옮겨가는 것이 바람직한 흐름임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노조의 변신은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한때 극렬한 파업을 벌였던 코오롱 GS칼텍스 노조가 임금을 동결한 데 이어 2004년 전면파업을 강행했던 한국바스프 여수공장 노조도 지난해 1300억원의 순이익이 발생했는데도 임금을 올리지 않기로 결의했다.

산업현장에 훈풍(薰風)이 불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안심하기는 아직 이르다.

임단협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오는 6∼7월이 고비다.

금속산별노조로 전환된 뒤 첫 교섭을 갖게 되는 현대자동차 등 대형 노조들이 종전처럼 임금 인상과 근로조건 개선에만 매달린다면 가까스로 싹이 튼 노사 평화 분위기가 깨지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더구나 자동차업계는 한·미 FTA의 체결로 더욱 극심한 경쟁에 직면할 공산이 크다.

미국차뿐만 아니라 일본차와의 경쟁도 격화될 것이라고 한다.

우리의 자동차업계는 물론 노동계가 어떻게 해야 할지는 불문가지(不問可知)다.

노사협력의 틀을 새롭게 짜야 한다.

우선 사용자 측이 보다 진취적인 자세로 노사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러나 관건은 노조의 자세다.

예컨대 이익배분을 극대화시키는 노력보다 근로자들의 고용안정과 복지혜택 증진을 위한 교육훈련 확대 등에 좀 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한 차원 높은 노사협력을 통해 모처럼 불기 시작한 노사 상생과 공존공영의 문화 바람이 더욱 확산돼 정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