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시행사는 시행⇒건설⇒분양으로 이어지는 아파트 건설의 첫 단계인 부동산을 개발하는 사업자다.

현행법상 특별한 자격요건 없이 누구나 아파트 부지를 사들이고 인ㆍ허가를 따내는 시행사 업무를 할 수 있다.

직원 3∼4명을 두는 소규모부터 기업형까지 다양하다.

과거 건설사가 시행사 역할도 했지만, 외환위기 이후 재무건전성 때문에 시행사 역할을 거의 하지 않는다.

최근 들어 건설사 숫자와 비슷한 규모로 시행사가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문제는 투명성과 자질을 갖춘 시행사가 적다보니 아파트 가격에 '거품'이 생긴다는 점이다.

최근 고분양가로 논란을 빚은 GS건설의 '서초동 아트자이' 124가구의 분양금은 3198억원. 총 분양금의 7~10%가 개발이익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서초동 아트자이의 개발이익은 223억∼319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중 시행사들의 몫은 얼마나 될까? 전체 아파트 건설 이익의 절반 정도가 시행사의 이익인 점을 감안하면, 해당 아파트의 시행사 몫은 110억∼150억원이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대박의 꿈'을 꾸는 시행사들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아파트 500가구를 지으면 300억원을 번다'는 말도 공공연하게 나돈다.

전국에 시행사가 1만여 개나 난립하고 있는 것도 '한탕주의'가 만연해 있기 때문. 시행사가 우후죽순 난립하고 있지만 성공하는 시행사는 1000개 가운데 1개 정도일 것이라는 게 건설업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아파트 부지를 사들이고 사업 인ㆍ허가를 받는 데 걸리는 2∼3년 동안 금융비용을 못 견디기 때문이다.

풍부한 자금력과 정도경영ㆍ신뢰경영으로 무장하고 건전한 시장문화를 유도하는 우량기업이 많아져야만 거품원가도 사라지고 '먹통' 건설경기도 '숨통'이 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