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인력난에 허덕여 온 중소 제조업체에서는 이번 정책에 대해 환영하는 분위기다.

유광수 중소기업중앙회 연수계획팀장은 "이번 제도로 각 사업장 고용 가능 외국인 수 쿼터가 두 배 정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무연고 동포까지 국내에 들어오면 제조업체들의 인력난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취업 가능 업종 역시 20개에서 32개로 늘었다.

기존 특례고용허가제에서 금지됐던 가정용품 도·소매업,양식어업,육상여객운송업,여행사 및 기타 여행보조업 등이 이번에 새로 추가됐다.

특히 관심을 모았던 '무점포 소매업'이 허용돼 인천과 중국을 오가는 보따리 중개상도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물론 인건비가 낮은 동포들의 대거 유입으로 국내 노동시장이 혼란에 빠질 것이란 우려도 있었다.

유정엽 한국노총 정책부장은 "건설·단순노동과 관련된 인력시장은 이번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면서 "동포들에게 동등한 대우를 해주기보다는 싼값에 인력을 쓰려는 편법적 성격이 강한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