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이 지난 21일 7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 0.25%에서 0.5%로 올리자 국제금융계의 초점은 '엔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의 향방에 모아졌다. 도대체 이 자금은 얼마이고 누가 투자하는지,금리인상으로 이 자금이 다시 일본으로 돌아올 것인지를 분석해 본다.

◆엔캐리 트레이드의 정체

엔캐리 트레이드라고 하면 헤지펀드로 대표되는 대형 국제 투기자본이 일본 시중은행에서 금리가 싼 엔화를 빌려 미국 한국 영국 등 일본보다 금리가 높은 나라의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의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떠올린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엔캐리 트레이드에는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주체에 의해 행해지는 다양한 자본투자가 포함돼 있다.

한국 내에서 자영업을 하는 사람이 은행에서 원화대출보다 이자가 싼 엔화대출을 받아 생산설비를 구입했다면 이 역시 엔캐리 트레이드다.

흔히 날아오는 '싼이자에 돈 쓰라'는 스팸메일도 대부분 저리로 조달한 엔화자금에 마진을 붙여 국내에서 대출,금리차를 챙기려는 엔캐리 트레이더들이 보내는 것이다.

특별한 사람들만의 전유물처럼 생각되는 캐리트레이드는 이처럼 우리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뿐만 아니다.
[Global Issue] 日 금리인상에도 엔캐리 트레이드 왜 끄떡 않나

루마니아나 라트비아에서 내집 마련을 위해 엔화 표시 모기지 대출을 받는 가정들도 엔캐리 트레이더들이다.

이들이 쓰는 엔화가 전체 엔캐리 트레이드의 대종은 아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주역은 보통 일본사람들이다.

시중은행에 저축해 둔 돈을 인출,해외투자펀드에 집어 넣는 평범한 일본인들이 바로 그 주인공들이다.

개개인은 투자금액이나 외환시장에서의 영향력이라는 면에서 미미하지만 이런 개미 투자자들의 해외투자를 모두 합할 경우 가장 큰 엔캐리 트레이더가 된다.

자신의 자금이든,빌린 자금이든 수익을 올리기 위해 엔화 자금을 금리가 높은 통화표시 자산으로 이전시키는 모든 행위는 엔캐리 트레이드라고 볼 수 있다.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좁은 의미에서 볼 때 외국투자기관이 일본에서 빌린 대출금액을 기준으로 그 규모가 2000억달러 정도에 달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추정했다. FT는 동시에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엔화선물 순매도 포지션(엔화를 팔겠다고 계약한 물량)의 규모를 토대로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최대 1조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보도, 규모 추정이 그만큼 어려움을 반영했다.

◆엔캐리 늘수록 엔 약세 지

[Global Issue] 日 금리인상에도 엔캐리 트레이드 왜 끄떡 않나
다양한 엔캐리 트레이드의 공통점은 엔화자금이 일본보다 금리가 높은 다른 국가에 투자되기 위해 외환시장에서 해당국 통화로 환전된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엔화 '팔자' 주문이 지속적으로 늘게 마련. 그 결과 엔화가치는 수요 공급의 원칙에 따라 떨어지게 된다.

이런 현상은 전 세계 외환시장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엔화 값이 떨어지면 엔캐리 트레이더들은 금리차 이외에 엔화가치의 추가 하락에 따른 환차익도 얻게 된다.

나중에 갚아야 할 엔화의 값어치가 떨어지니 그만큼 이익이 늘어나는 것이다.

간단한 계산을 예로 들면 일본에서 연 0.5%의 금리로 대출받은 돈으로 기준금리가 연 7.25%인 뉴질랜드 국채를 사 놓으면 자기 돈은 한푼도 안 들이고 6.75%의 금리 차이를 수익으로 거둘 수 있다.

이 같은 '눈먼 돈벌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엔캐리 트레이드는 끊임없이 이뤄지고 엔화 약세 역시 쉽게 시정되지 않는 것이다.

◆세계경제에 미치는 부작용

가장 큰 문제는 전 세계에 지나칠 정도로 많은 유동성이 공급된다는 점이다. 엔화 자금은 수익을 좇아 전 세계로 흘러들어가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무차별적으로 투자돼 최근 수년간 전 세계적으로 자산버블(거품)이 생기는 데 일조했다.

엔캐리 트레이드는 또 미국의 과도한 경상적자로 대변되는 글로벌 불균형을 더 키우는 역할도 했다.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 중 일부가 미 국채를 사주지 않는다면 미국은 경상적자를 안고가기 어렵게 된다. 미 국채의 상당부분은 각국 중앙은행이 사들였지만 엔화 자금을 빌려 미 국채에 투자하는 엔캐리 트레이더들 역시 국채 소화에 커다란 몫을 담당했다. 엔캐리 자금은 미국뿐 아니라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의 국채 매입에도 상당부분 동원됐다.
[Global Issue] 日 금리인상에도 엔캐리 트레이드 왜 끄떡 않나

따라서 엔캐리 트레이드는 글로벌 불균형을 확대 재생산시켜 세계경제 전체를 왜곡시킨다는 비난을 듣고 있다.

대규모 경상적자를 기록 중인 뉴질랜드의 뉴질랜드달러가 비정상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것도 엔캐리 자금에 의한 왜곡의 대표적인 사례다.

또 다른 문제는 최대 1조달러대로 추정되는 엔캐리 트레이드가 일시에 청산될(해외에 투자한 자산을 팔고 빌린 엔화 상환) 경우 올 수 있는 충격이다.

엔캐리 트레이드가 한창 기승을 부리던 1998년 엔화가치는 달러당 147엔까지 떨어졌으나 러시아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으로 3일 만에 13%나 올랐고 두달여 만에 달러당 112엔까지 치솟았다.

세계 금융시장은 커다란 충격에 휩싸였고 그 여파로 당시 세계 최대 헤지펀드이던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가 결국 문을 닫았다.

이 같은 사태가 언제 다시 발생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BNP 파리바의 수석 통화전략가 한스 레데커는 "1997~98년과 유사한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이머징 마켓 자산과 주식시장에서 버블 붕괴가 일어나면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촉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 금리 인상에도 대거 청산 가능성 낮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엔캐리 트레이드가 급속히 청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도 다른 나라와의 금리 차이가 워낙 커 엔캐리 트레이드가 여전히 충분한 수익을 낼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외환시장 관계자들은 엔캐리 트레이드의 매력이 없어지려면 일본의 금리가 지금보다 추가로 2%포인트는 더 올라가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Global Issue] 日 금리인상에도 엔캐리 트레이드 왜 끄떡 않나

따라서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급속한 청산 가능성은 당분간 거의 없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전문가들은 일본의 금리 인상보다는 1998년처럼 예상치 못한 외부적인 요인이 방아쇠 역할을 해 갑작스런 엔화가치 반등과 이에 따른 급격한 청산이 진행될 가능성이 오히려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일이 발생할 경우에도 1998년과는 달리 글로벌 외환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나 충격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영국의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한 투자은행 관계자의 말을 인용,"헤지펀드를 비롯한 엔캐리 투자자들이 엔화가치 상승에 대비해 파생상품을 통해 상당부분 헤지를 해 놓았기 때문에 일시 충격이 오더라도 외환시장은 전보다 훨씬 면역력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김선태 기자 k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