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동산 시장은 '안갯속'이다.

환율,금리,물가지수 등 각종 경제지표에다 정부의 정책 의지,대선(大選) 등 정치적 변수까지 다양한 요인들이 실타래처럼 얽혀 있어 예측이 쉽지 않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대체로 약보합세나 완만한 상승세를 점치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특히 집값의 경우 그동안 폭등으로 서민들의 불안심리가 크게 고조된 데다,정부의 부동산시장 규제 대책 강화,거시경제 불안 등의 변수가 상승보다는 안정세쪽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은 이런 점을 감안,새해 아파트값이 전국적으로 1.5%,서울은 3.2% 상승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정보업체인 부동산퍼스트는 전국 평균 5.0%,서울은 7.0% 정도로 다소 높은 상승을 점쳤다.

하지만 이 같은 안정적인 가격 전망을 흔들 수 있는 변수로 수급 상황을 꼽았다.

강민석 건설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올해 서울·수도권 신규 입주 예정 주택이 작년보다 20% 줄어든 반면 뉴타운 등 각종 재건축 개발사업 추진으로 멸실 주택이 늘면서 일시적 수급 불균형이 발생,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러나 이 같은 일시적 변수에도 불구하고 하반기나 연말 이후엔 하락세로 반전될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토지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확실한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부터 부재지주 소유 토지의 양도세가 60%로 중과되는 등 세 부담이 더욱 커지고 개발 예정지는 모조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외지인의 진입이 어렵다.

건산연은 올해 땅값 상승폭이 평균 1% 안팎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상가 시장도 대선에 따른 반짝 경기가 예상되나 기반시설분담금 부과 등의 요인으로 분양가가 상승하면서 공급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견됐다.

건설시장 체감경기도 싸늘할 전망이다.

대한건설협회는 올해 건설시장 수주 규모를 95조7000억원 정도로 예상했다.

이는 작년에 비해 4.0% 줄어든 것이다.

특히 민간 건축시장 부진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원 광교,파주신도시 등에서 대규모 주택 공급이 예정돼 있긴 하지만 지방 분양시장 침체,택지 확보 어려움 등으로 인해 민간건축 부문은 5.2%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공공부문도 최저가 낙찰제 확대 등의 여파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져 건설업계의 시름이 깊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