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10년'을 되찾고 있는 일본,그 부활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적지 않은 전문가들은 상생의 노사관계를 핵심 요인으로 꼽는다.

사실 일본 노사현장에는 노조의 투쟁으로 고생하는 기업이 거의 없다.

최근 일본 노사현장을 방문했을 때 만난 일본전기노조연합의 야스히코 오사무라 부중앙집행위원장은 "노동자도 회사가 있어야 존재할 수 있다"며 "노조가 이념과 투쟁의 덫에 빠지면 결국 그 손해는 노동자에게 돌아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협력적 노사관계를 강조하면 어용노조란 비난을 받지 않느냐"는 물음에 "어용과 협력은 다르다.

오히려 투쟁은 머리가 나쁜 노조간부나 하는 멍청한 짓"이라고 맞받아쳤다.

렌고(連合)생활개발연구소(일본 상급노동단체인 렌고의 부설연구소)의 야스오 구보다 전무이사는 "노조가 원하는 게 있으면 사용자도 원하는 게 있다"며 "노조가 30%를 얻기 원하면 사용자의 몫으로 70%를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요구사항이 100% 관철되지 않으면 파업을 택하는 경우가 많은 한국의 노동현장과는 딴판이다.

일본에서도 1970년대 중반까지 노조의 파업으로 큰 홍역을 치른 적이 있다.

이때 해결사로 나선 주체가 정부도,사용자도,시민도 아닌 바로 노조간부들이다.

'이대로 가다간 나라가 망할지 모른다'는 위기의식이 노조간부들 사이에 확산되면서 투쟁을 자제,노사 안정을 찾을 수 있었다.

일본에서도 파업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한 해 파업건수가 100건을 밑돌고 있다.

근로자 1000명당 파업으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는 2002년 기준으로 0.2일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손실일수 90일과 비교하면 파업강도가 어느 정도 약한지 알 수 있다.

일본 노조의 또 다른 특징은 정부나 기업에 돈이 필요하다며 손을 내밀지 않는다는 점이다.

노조전임자 임금은 당연히 노조기금에서 지출한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