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들 가운데 실제 노조에 가입한 비율을 뜻하는 노조조직률이 지난해 말 사상 최저치인 10.3%로 떨어졌다고 한다.

노조를 외면하는 근로자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얘기다.

노조가 근로조건 개선과 복지증진이라는 본연의 노동운동 목적에서 벗어나면서 갈수록 신뢰를 잃고 있는 현주소를 입증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물론 노조조직률 하락이 우리만의 일은 아니다.

독일 미국 일본도 해마다 떨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전통적으로 노조조직률이 높은 제조업체들이 산업구조 개편과정에서 대거 문을 닫거나 근로자 수를 줄인데 반해 노조결성이 미약한 서비스업과 IT 분야의 기업이 증가한 까닭이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유독 낮은 노조조직률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이 같은 산업구조 변화 못지않게 최근의 노동운동이 갖는 자체의 문제점 때문이라고 보는 게 옳다.

대화와 타협을 통한 합리적인 방식의 근로조건 개선보다는 불법과 과격투쟁,정치노선만 앞세운 전투적 노조가 국민들의 염증을 불러왔고,그것이 노조의 몰락을 재촉하고 있다고 봐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민주노총은 여전히 노사로드맵 입법 반대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저지를 내세워 오는 22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했다. 민노총의 총파업은 명백한 불법이자,고용안정을 바라는 수많은 일선 노조원들의 여망마저 무시한 폭력적 행태다.

노동계는 이제라도 노조가 갈수록 외면받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한 정치투쟁 일변도의 과격 노동운동을 고집하는 한 더 이상 노조의 설 땅은 없어지고 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