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자본주의 시대] 연기금도 의결권 행사 참여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펀드가 경영에 개입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다른 주주들처럼 보유지분의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식일 것이다.
투자자들의 이익에 반하는 안건을 부결시킴으로써 돈을 맡긴 고객의 이익을 지키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 펀드들은 섀도 보팅(Shadow Voting)이라고 해서 의결에는 참가하되 의사 표시는 하지 않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다.
'섀도 보팅'이란 다른 주주들이 표시한 찬반의사의 비율대로 펀드 보유지분의 의결권을 분할해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투표 참여로 의결 정족수를 채워주는 역할을 하되,의사 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이다.
소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월스트리트 룰'을 꼽을 수 있다.
투자대상 기업의 가치가 하락할 경우 경영에 간섭하는 대신 주식을 매각해 손실을 최소화하는 행동방식이다.
최근엔 펀드자본주의의 영향으로 적극적인 의사표현 방식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특히 연기금 등도 고객 돈을 관리하는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기업을 감시하고 직접 의결권을 행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더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할 때는 주주제안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주주제안제도는 주총에서 의결할 안건을 주주가 제안하고,별도의 사유가 없을 때는 이를 채택하도록 한 제도이다.
상장주식을 보유한 펀드의 경우 의결권 있는 주식을 6개월 이상,1% 이상 보유하면 제안이 가능하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
투자자들의 이익에 반하는 안건을 부결시킴으로써 돈을 맡긴 고객의 이익을 지키는 것이다.
ADVERTISEMENT
'섀도 보팅'이란 다른 주주들이 표시한 찬반의사의 비율대로 펀드 보유지분의 의결권을 분할해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투표 참여로 의결 정족수를 채워주는 역할을 하되,의사 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이다.
ADVERTISEMENT
투자대상 기업의 가치가 하락할 경우 경영에 간섭하는 대신 주식을 매각해 손실을 최소화하는 행동방식이다.
최근엔 펀드자본주의의 영향으로 적극적인 의사표현 방식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ADVERTISEMENT
더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할 때는 주주제안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주주제안제도는 주총에서 의결할 안건을 주주가 제안하고,별도의 사유가 없을 때는 이를 채택하도록 한 제도이다.
ADVERTISEMENT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