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렇게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와 우리금융이 사사건건 갈등을 빚는 근본적인 원인은 민영화의 지연에 따른 것인 만큼 민영화의 진행만이 문제해결의 지름길이라는 지적입니다. 계속해서 최진욱 기자가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2001년 4월 국내 최초의 금융지주회사로 출범한 우리금융은 지금까지 모두 20여 차례가 넘게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체결한 MOU 점검을 받아왔습니다.

(CG1)(우리금융 공적자금 지원,회수실적

*1차:1998~99년 3조4842억원 => 100% 감자

*2차:8조5390억원

---------------

*총계 12조232억원 => 1조 1380원 회수

예금보험공사는 98년부터 2001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총 12조원의 공적자금을 지원했고, 상장과 블럭세일, 배당 등으로 현재까지 약 10%를 회수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예보의 보유지분율은 100%에서 78%까지 떨어졌고, 우리금융은 턴어라운드에 성공해 우량회사로 탈바꿈 했습니다.

(S1)(민영화 일정-방안, 여전히 불투명)

현행 법률상 늦어도 2008년 3월까지는 민영화를 완료해야 하지만 최종 민영화 방안은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민영화를 위해 서로 협력해도 부족한 판에 양측은 과다한 성과급 지급을 둘러싸고 또 다시 충돌했습니다.

(S2)(경영자율권 확대여부가 핵심)

표면상 성과급이 이슈로 떠올랐지만 갈등의 핵심은 더 많은 자율을 원하는 우리금융과 이를 쉽게 허용하지 않으려는 예보의 기싸움입니다.

(S3)(해결방법은 결국 "민영화" 추진)

금융권에서는 평행선을 달리는 양측의 입장차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계획된 민영화를 추진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S4)(예보-우리금융 민영화 합의 필요)

이를 위해서 민영화 이후 우리금융의 지배구조, 사업방향, 금융시장에서의 역할 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며, 예보와 우리금융은 민영화의 주체로서 머리를 맞대야만 합니다.

(S5)(영상편집 허효은)

자칫 양측의 대립이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모습 보다는 권한을 둘러싼 '힘겨루기'로 비칠 경우 여론은 잘잘못을 떠나 냉정하게 두 곳 모두에게서 등을 돌릴 것입니다.

와우TV뉴스 최진욱입니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