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에서 부장 차장 과장 등의 직책이 사라진다.

또 본부장 실장 팀장 등을 맡은 사람을 제외한 모든 직원의 호칭이 '매니저'로 통일된다.

매니저 단위에선 승진 개념이 없어진다.

성과가 좋으면 언제든 연봉을 올려주는 방식으로 바뀐다.

SK텔레콤은 통신업계에서는 처음으로 직급과 호칭을 없애는 등 대대적인 인사제도 혁신을 단행한다고 16일 밝혔다.

회사측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사업을 추진해 지속성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수평적 '밴드 체제'로

인사제도 혁신으로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 기존 직위체계는 역량과 성과 중심의 '밴드(Band) 체제'로 통합된다.

호칭도 '매니저'로 단일화된다.

사내 설문조사 결과 '~님' '~씨' 등의 호칭보다 '매니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니저는 '업무에 대해 전문지식과 책임을 가진 담당자'란 의미를 담고 있다.

밴드 체제는 수직적 직위체제를 벗어나 개인의 역량을 더 중시하는 점이 특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기존 체제에서 직위는 업무에 있어서도 공식적인 지위체계로 작동했지만 밴드 체제에서는 비공개적으로 관리하는 처우 기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개인의 존재감과 업무수행에서의 책임감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은 인사제도 혁신으로 고위직급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직이 노쇄화하면 관리인력은 늘고 실무인력은 줄어 직급체계가 복잡해지고 수동적 일처리 문화가 생겨나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조직원의 DNA까지 바꾼다

직위체계 파괴가 SK텔레콤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대개 호칭만 바뀌었을 뿐 내부적으론 기존의 수직적 상하관계가 존재하는 게 사실이다.

이에 SK텔레콤은 조직문화까지 성과 중심의 수평적·창의적 방향으로 바꾸기로 했다.

승진연한을 폐지하는 대신 역량과 성과가 뛰어나면 연봉을 높이는 방식으로 보상해줄 계획이다.

이에 따라 팀장의 역할은 강화되고 팀원들은 수평적 관계 속에서 창의력을 발휘하고 과감히 도전할 수 있게 됐다는 게 회사측 얘기다.

SK텔레콤은 올해 초부터 'SK텔레콤적인 유전인자(DNA)'란 뜻으로 'T-DNA'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도전정신과 창조정신을 극대화하자는 취지로 만든 신조어다.

이에 따라 식스시그마 운동을 전개하고 교육체계와 회의문화를 바꾸는 등 조직원 개개인의 창조적이고 도전적인 'T-DNA'를 생성하는 데 주력해왔다.

SK텔레콤 인력관리실장인 현순엽 상무는 "구성원(People),제도(System),문화(Culture)의 혁신이 유기적으로 이뤄질 때 새로운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며 "인사제도 혁신은 SK텔레콤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