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연호 연세대 정외과 교수 ]

한국의 경우 정치·안보환경이 경제상황을 결정짓는 성향이 다른 나라보다 더 심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북한의 핵실험은 한국 경제를 근간에서부터 뒤흔들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진다.

물론 북한이 당장 핵실험을 감행했다고 해서 금융시장에 '패닉'에 가까운 충격이 즉각적으로 오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후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각종 경제 정책이 원점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를 꼽아보면,동북아 금융허브 정책을 들 수 있다.

한국 스스로 국가의 신용을 담보하지 못하는 상황에 부닥치기 때문에 아무리 동북아 금융허브를 하겠다고 발버둥쳐도 해외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없는 것이다.

좀 더 쉽게 설명해보자.만약 지금 이순간 이스라엘이나 인접한 중동의 이슬람 국가들 국민들이 평소와 다름 없이 평화롭게 생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TV 화면을 통해 이 지역에서 벌어지는 폭탄테러 등을 접하게 될 경우 '저 나라는 사람 살만한 곳이 못되는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북한 핵실험 이후 해외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은 극단적으로 이런 식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반도를 둘러싼 최근 상황과 관련,다른 무엇보다 우려되는 점은 일반 국민은 물론 정부 관료들까지 사태를 너무 안이하게 보고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특히 참여정부 입장에서는 정권 말기로 갈수록 국민의 정부로부터 승계받은 햇볕정책을 포기하고 싶지 않은 욕심이 생길 것이다.

그러나 지금 현 상황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것은 사태를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려 정보와 실제 현상 사이에 부조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