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6일자) 한ㆍ미 정상 '합의' 모양새는 갖췄지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 재개를 위한 '공동의 포괄적 접근'과 함께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문제를 양국간 협의를 통해 풀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적극 추진키로 하는데 합의했다.
산적한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까지 나온 것은 아니지만 당면한 북핵(北核)문제 해결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할 만하다.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담이 양국간 갈등과 잡음이 무성한 가운데 열렸지만 큰 이견없이 한·미동맹을 재확인하고 전시작통권의 정치쟁점화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은 긍정적이다.
그동안 이들 문제를 둘러싸고 형성됐던 국민들의 안보불안을 다소나마 해소(解消)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그렇다.
양국 정상간에 큰 틀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 만큼 이제 앞으로의 실무회담을 통해 얼마나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하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북핵문제에 대한 '공동의 포괄적 접근'이 의미하는 것처럼,북측의 6자회담 복귀를 이끌어내기 위해 보다 전향적(前向的)이고 다양한 수단들이 동원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 안보환경을 심각하게 변화시킬 수밖에 없는 전시작통권 환수문제는 결코 성급하게 결론낼 사안이 아니다. 우리의 자주국방 능력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통해 환수시기 등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실 양국이 앞으로 다뤄야 할 현안들 가운데 어느 것 하나 민감(敏感)하지 않은 게 없다.
이번 정상회담이 신뢰를 바탕으로 한·미관계가 보다 성숙된 차원으로 진전되는 계기가 되어야 할 이유다.
무엇보다 안보와 관련한 국민들의 불안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조치가 뒤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더 이상 양국간의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부추기는 전시작통권 논란도 바람직하지 않다.
양국이 경제공동체적 동반자로서 새로운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FTA협상도 더욱 서둘러야 함은 물론이다.
산적한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까지 나온 것은 아니지만 당면한 북핵(北核)문제 해결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할 만하다.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담이 양국간 갈등과 잡음이 무성한 가운데 열렸지만 큰 이견없이 한·미동맹을 재확인하고 전시작통권의 정치쟁점화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은 긍정적이다.
그동안 이들 문제를 둘러싸고 형성됐던 국민들의 안보불안을 다소나마 해소(解消)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그렇다.
양국 정상간에 큰 틀에 대한 합의가 이뤄진 만큼 이제 앞으로의 실무회담을 통해 얼마나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하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북핵문제에 대한 '공동의 포괄적 접근'이 의미하는 것처럼,북측의 6자회담 복귀를 이끌어내기 위해 보다 전향적(前向的)이고 다양한 수단들이 동원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 안보환경을 심각하게 변화시킬 수밖에 없는 전시작통권 환수문제는 결코 성급하게 결론낼 사안이 아니다. 우리의 자주국방 능력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통해 환수시기 등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실 양국이 앞으로 다뤄야 할 현안들 가운데 어느 것 하나 민감(敏感)하지 않은 게 없다.
이번 정상회담이 신뢰를 바탕으로 한·미관계가 보다 성숙된 차원으로 진전되는 계기가 되어야 할 이유다.
무엇보다 안보와 관련한 국민들의 불안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조치가 뒤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더 이상 양국간의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부추기는 전시작통권 논란도 바람직하지 않다.
양국이 경제공동체적 동반자로서 새로운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FTA협상도 더욱 서둘러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