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우리 경제에 대한 암울한 전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최근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내년 경제성장률 4.1%,경상수지 22억달러 적자를 전망한데 이어,삼성경제연구소는 성장률 4.3%에 경상수지 적자가 4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 경제의 '위기경보'나 다름없고 보면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다.

무엇보다 성장률이 4% 초반대로 떨어지면서 경상수지마저 적자로 돌아서는 것은 충격적인 일이다.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경상수지가 흑자로 돌아선 이후 10년 만에 과거의 적자시대로 회귀하게 되는 셈이다.

더구나 경제체질이 저성장기조로 바뀌면서 자칫 만성적자속의 경기침체 장기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 같은 성장률 둔화와 경상수지 적자가 고유가 및 환율하락,미국의 경기하강 가능성,중국의 긴축 움직임 등 대외여건이 악화되고 있는데다,대내적으로는 투자부진으로 인해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이 갈수록 뒷걸음질치고 있는데 기인하고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더구나 그동안 우리 경제를 떠받쳐온 수출마저 증가세가 눈에 띄게 떨어지고 채산성도 악화되는 실정이고 보면 우리 경제가 한마디로 사면초가에 빠져드는 형국이 아닐 수 없다.

문제는 경상수지가 일단 적자로 돌아서면 이를 되돌리기가 여간 어렵지 않고,가뜩이나 부진한 성장의 발목을 잡으면서 고용 및 소비를 위축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우리 경제의 투자와 고용,소비가 모두 감소하면서 아예 성장기반을 상실할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정부는 우리 경제의 낙관론에서 당장 벗어나 상황을 보다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으면 안된다.

적어도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정책의 우선순위부터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투자를 촉진하고 고용 및 소비를 확대하는데 주안점을 둔 특단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출자총액제한을 비롯한 수도권 공장 신·증설 제한 등 기업의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의 과감한 철폐를 더 이상 머뭇거려서는 안된다.

노동시장의 경직성을 완화하는 조치도 당장 필요하다.

수출과 내수의 선순환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는 유망산업의 육성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