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금융 허브(중심지) 전략은 미래의 성장기반이다.

현 정부 잔여기간에 허브전략이 속도를 내지 못하면 결국 흐지부지될 우려가 있다."(김기환 서울파이낸셜포럼 회장)

"영국이 20년 전 국제금융 허브정책을 추진했을 때 상황은 현재의 한국과 비슷했다.

한국도 생각을 바꾸고 자신감을 갖고 추진한다면 틀림없이 할 수 있다."(제프리 존스 변호사)

서울파이낸셜포럼이 30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선 동북아 금융 허브 전략의 엔진이 꺼져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김 회장은 "참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금융허브 발전 전략은 지나치게 느슨하다"며 "현 정부가 허브전략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한다면 한국의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후세로부터도 바른 평가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임스 루니 마켓포스컴퍼니 대표는 "금융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란 점에서 금융허브는 한국 고용정책의 청사진인 동시에 한국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이라며 "한국경제에 다가온 호기를 놓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서울파이낸셜포럼은 이날 허브전략의 모멘텀(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내년 말까지 달성해야 할 10대 정책목표를 제시했다.

먼저 소득세와 법인세를 홍콩과 싱가포르 수준으로 낮추고 금융허브 전략 추진에 국세청도 참여토록 해 세법 해석의 애매함을 없앨 것을 제안했다.

또 금융규제 방식을 제한적 열거주의(포지티브 시스템)에서 완전 포괄주의(네거티브 시스템)로 바꿔 '예측가능한 사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내 주식과 채권 시장에 외국 투자자의 진출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이를 위해 10개 이상의 외국기업을 국내 증시에 상장시켜 시가총액을 15억달러 이상으로 늘리고 외국자산운용사 지역본부도 6개 이상 유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자본거래의 사후신고제를 완전 정착시켜 외국자본이 원화를 얼마든지 자국통화로 바꿀 수 있도록 원화의 태환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상기 서울대 교수는 "KIC(한국투자공사) 출범 등 허브전략의 법제화에는 어느 정도 성과를 봤지만 참여정부의 집권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분위기"라며 "허브전략이 참여정부 이후에도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과제들이 차질없이 수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