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바다이야기' 관련 수사가 '사행성 게임'과 '상품권 비리' 의혹 수사로 가닥이 잡혔다.

검찰이 '윤상림 사건' 등 대형 사건을 맡았던 화이트칼라 범죄 전담 특수2부를 투입한 배경에는 상품권 비리 의혹에 대한 정·관계 로비 등의 결정적인 단서를 포착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별수사팀에 투입하는 검사는 모두 13명.여기에 수사인력만 100여명에 달해 사행성 게임 비리 의혹 수사 속도는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25일 "상품권 지정과 유통 과정에 정치권 등 실세의 로비가 이뤄지고 조직폭력배가 개입했다는 등의 의혹이 광범위하게 제기돼 업무 분담 차원에서 전문 수사 역량을 갖춘 특수2부를 투입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덜미 잡힌 상품권업체 로비 의혹

김경수 부장검사가 지휘하는 특수2부는 상품권 발행 업체들이 수억원씩을 모아 정·관계 등에 집단 로비를 벌인 사실을 밝히는 데 수사력을 모을 계획이다.

지난해 상품권 업체들을 수사한 동부지검은 업체들을 대변해 정·관계에 집단 로비를 벌인 한국컴퓨터게임산업중앙회 전 간부인 A씨를 짚어냈던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업체별로 수억원씩을 갹출,로비자금을 마련한 의혹을 받고 있다. 또 동부지검은 당시 수사 과정에서 상품권 발행 업체인 B사 대표 K씨가 상품권 지정 과정에서 모종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했다.

K씨는 2003년 2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한국게임산업개발원 이사로 재직했던 인물.K씨가 운영했던 B상품권 업체는 2005년 3월 당시 상품권 인증 업체에 속했다 허위서류를 제출한 것으로 드러나 심사에서 탈락했다.

B사는 그러나 상품권 발행이 '지정제'로 바뀐 뒤 심사를 통과해 '모종의 검은 커넥션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왔다.

검찰은 B사가 '검은 돈'을 주고 받으며 정·관계 등에 로비를 벌였을 것으로 보고,자금 흐름 등을 추적할 계획이다.

'조폭 연루' 설득력

경품용 상품권 유통과 사행성 게임장 운영에 조직폭력배가 개입돼 있다는 의혹도 점차 베일을 벗고 있다.

검찰은 게임기 관련 비리와 상품권 관련 비리를 중심으로 수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조직폭력배 관련 혐의를 포착할 경우 이에 관한 수사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초 국정원은 폭력배들이 사행성 게임장을 매개로 탈세 등 각종 불법을 저지르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지난달 청와대에도 보고한 것으로 25일 알려졌다.

'사회악 일소 차원,사행성 게임장 폐해 근절 긴요'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는 "전남 영광파 중간 보스 안모씨는 경품용 상품권 발행 3위인 H상품권의 전국 유통망을 장악하고 있으며 서방파 부두목 오모씨는 하루 매출 1억~5억원의 무허가 카지노 2곳을 운영하고 있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국정원은 또 "불법 환전 등으로 인한 연간 세금 탈루액이 게임장 4조5000억원,성인PC방 4조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같은 보고서에서 밝혔다.

김현예·유승호 기자 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