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택건설 경기가 악화되면서 건설사들은 관급공사나 턴키공사와 같은 공공부분으로 눈을 돌리려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입찰제도에선 건설사의 수익성도 확보되지 않을 뿐더러 중소형 업체들에겐 입찰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업계의 목소리입니다.

최서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입낙찰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건설산업연구원이 100명의 건설업계 CE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지적한 부분입니다.

지난 2001년부터 도입된 최저가 낙찰제는 300억원 이상의 모든 공사로 적용대상이 대폭 확대됐습니다.

대부분 상위 50위 건설업체가 수주를 독식했지만, 그마저 울며겨자 먹기식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수익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전문가들은 최저가 낙찰제가 건설산업 전체의 기반을 흔들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이상호 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공사품질 확보도 힘들 뿐더러 건설업체의 수익성 악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하도급업체나 자재업체들도 저가낙찰로 인한

수익성 악화로 건설산업의 기반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

결국 건설공사 참여자들은 상생적 관계보단 자신들의 손해를 최소화하는데 급급할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건설업체 관계자도 최저가 낙찰제에 따른 우려를 제기하며 정부의 정책마련을 당부합니다.

<인터뷰: 최재원 쌍용건설 토목견적부장>

"설계부분 뿐 아니라 가격경쟁부분에서 과도한 출혈경쟁을 하는 사례는 없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좀 더 보완적인 기준이 마련됐으면 하는 것이 업계의 바람이다."

최저가 낙찰제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최고가치 낙찰제.

가격경쟁위주의 입낙찰제도에서 벗어나 공사결과의 품질에 주안점을 두는 제도입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선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활발히 도입돼 보편화된 입낙찰제도입니다.

<인터뷰: 이상호 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저가낙찰제를 확대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선진국과 같이 최고가치 낙찰제도 쪽으로 정책방향을 선회해야할 것이다."

국내총생산의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관련 종사자만 무려 180만명에 이르는 건설산업.

건설산업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는 공공부분을 통해 건설업계가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입찰제도의 선진화가 선행돼야하는 시점입니다.

WOWTV-NEWS 최서우입니다.

최서우기자 s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