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유를 생산 중인 광구를 직접 사들이는 등 해외 유전광구 확보 방식을 공격적으로 전환하기로 한 것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세계 자원전쟁에서 밀려날 경우 심각한 지경에 봉착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를 넘나드는 등 천정부지로 뛰고 있는 데다 중국 일본 인도 등이 세계 곳곳의 유전광구를 싹쓸이할 태세여서 탐사와 개발 위주의 전략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외환보유액도 투입 추진

중국 국영석유회사는 지난해 매장량 7억배럴 규모의 카자흐스탄 유전광구를 현찰 42억달러에 매입했다.

중국 일본 등이 세계 주요 유전에 들이는 돈은 가히 천문학적 규모다.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에너지자문회의에서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한 대부분의 참석자들은 이 같은 자원 확보전에 '맞불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원유 생산 광구를 통째로 사들이거나 광구 운영권을 갖고 있는 외국 석유개발 업체 지분을 51% 이상 매입하는 전략을 추진하는 배경이다.

문제는 재원.현재 4% 수준인 원유 자주개발률(원유 도입량 중 한국 소유 광구에서 들여오는 원유의 비중)을 5%로 높이려 해도 70억달러를 투입해야 한다.

산업자원부는 예산이 제한적인 만큼 유전개발 펀드,정유회사 종합상사 등의 투자자금 등과 함께 2200억달러에 이르는 외환보유액 활용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행 등 외환 당국이 유전 매입에는 리스크가 따른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민간에도 강제절약책 쓰나

정부는 우선 6월부터 공공부문에서 에너지 강제 절약책을 쓰기로 했다.

300여개 정부기관,정부투자기관 등이 6월부터 승용차 요일제를 시행한다.

공무원뿐 아니라 민원인도 월요일에는 자동차번호 끝자리가 1이거나 6인 자동차는 공공기관에 들어갈 수 없으며 화요일에는 2,7번 자동차의 출입을 통제한다.

또 공공기관 사무실의 여름철 온도는 섭씨 26~28도 수준으로 제한하며 공무원 등은 간소복 착용을 의무화한다.

정부는 민간의 경우 자율 절약을 원칙으로 하되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강제 절약책 적용을 검토키로 했다.

정세균 산자부 장관은 이와 관련,"유럽 국가들 중에서는 정부가 백화점 은행 등의 냉·난방 온도를 법으로 규제하는 곳도 적지 않다"며 의지를 내비쳤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