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동해수로 측량계획 사건이 외교적 협상으로 타결되기까지 한일 양국의 의원들도 긴박하게 연락을 주고 받으며 숨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열린우리당 문희상(文喜相) 의원과 일한의원연맹 회장인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총리는 일본의 동해도발 사건이 터진 뒤 양국 정부의 입장을 우회적으로 전달하며 의원외교 채널을 가동한 것.
23일 한일의원연맹에 따르면 문 의원은 지난 18일 모리 전 총리에게 "탐사계획 철회가 돌파구"라는 요지의 서신을 보내 일본측의 의사를 타진했다.

이에 모리 전 총리는 일본 외무성에 이같은 한국의 입장을 전달했고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외무성 사무차관이 곧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는 내용의 답신을 보내온 것으로 전했다.

또 한일의원연맹은 지난주 한국을 방문한 일본 민주당 소속 유력 의원을 만나 `선(先) 탐사계획 철회, 후(後) 해저지명 등재계획 보류'라는 한국의 입장을 일본 정부에 전달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고 한일의원연맹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한일 양국에 젊은 정치인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한일 의원외교도 과도기를 맞고 있다"며 "이런 때일수록 한일 의원간 긴밀하게 연락을 주고 받으며 양국 입장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