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들마다 음식물 쓰레기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지자체들은 쓰레기 매립장에서 메탄 가스(LFG·Landfill Gas)를 계속 생산하기 위해 매립장에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묻을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고쳐 달라고 환경부에 거듭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유기물과 수분 등을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가 메탄 가스를 생산하는 원료이기 때문이다. 2005년 1월부터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장행이 금지되기 전만 해도 지자체는 LFG 발전소를 통해 악취를 해결하고 세외 수입도 챙길 수 있었다. 부산시는 2001년 생곡 쓰레기매립장에 민자 유치로 LFG발전소를 설치한 후 연평균 20억원어치의 전력을 생산 판매, 이 중 4.5%를 부지 임대료 수익으로 받았다. 2002년 LFG발전소를 설치한 군산시도 시간당 최대 1000㎾의 전기를 생산,㎾당 65원에 판매하고 있다. 군산시의 수입은 전력 판매액의 2%.현재 울산 부산 광주 포항 등 총 10곳에 있는 LFG발전소의 용량은 3만㎾로 한 가구가 하루 평균 2.5㎾의 전력을 사용한다면 1만2000여가구가 쓸 수 있다. 메탄 가스를 활용한 다양한 대체에너지 사업도 진행 중이다. 대전시는 메탄 가스를 연료로 청소차를 운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는 청정에너지 사업차원에서 연간 29만t의 온실 가스를 감축,20여억원의 세외 수입을 올릴 계획이다. 이처럼 지자체들마다 메탄가스 활용 사업에 뛰어든 상황에서 환경부의 음식물 쓰레기 반입금지 조치로 자칫 수십억원을 들여 만든 메탄가스 생산 시설이 고철 덩어리로 변할 위기에 처했다. 울산시와 SK㈜가 2002년 55억원을 들여 세운 성암 생활쓰레기매립장 내 '메탄가스 자원화 시설'은 연평균 10억원 이상 판매 수익을 올리다가 지난해 수익이 9억원으로 줄었다. 이곳에 매장된 메탄 가스는 2억2000만㎥로 인근 금호석유화학과 성암 쓰레기소각장 등에 10년간 270억원어치를 팔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양이다. SK 관계자는 "음식물 쓰레기가 계속 반입되지 않는다면 결국 메탄가스 생산 중단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대전도시개발공사와 효성 등의 컨소시엄이 100억원을 투자, 2003년부터 가동 중인 대전 금고동 매립장도 흑자를 기록해 오다 지난해부터 적자로 돌아섰다. 이에 대해 환경부 생활폐기물과 관계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묻으면 악취와 침출수 발생 등 부작용이 크다"며 "음식물 쓰레기의 직매립 허용은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