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그동안 그룹과 관계된 대선자금,에버랜드 전환사채 증여문제,X-파일 등 여러 현안들과 관련하여 자성(自省)과 함께 나눔경영 확대,구조조정본부 기능 조정 등의 조치들을 내놨다. 최근 이건희 회장이 귀국하면서 "삼성이 상품 1등하는 데만 신경쓰다 보니 비대해져서 느슨해진 것을 느끼지 못했다"고 한 발언에서 어느 정도는 이미 예견됐던 바다. 앞으로 삼성이 기업과 사회와의 의사소통에 보다 역점을 두면서 내부 개혁에도 박차(拍車)를 가해 나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기업이 지속성장이란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또 끊임없는 혁신을 말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지만 이번 삼성의 발표는 그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 일각에서 터져 나오고 있는 반(反)삼성,반(反)기업 정서에 대한 삼성 스스로의 고민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은 그 해법으로 외부를 탓하기보다는 스스로의 변화를 택했다. 나눔경영 차원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중소기업과의 상생경영과 여러 사회공헌 활동에 더해 8000억원 상당의 사회복지기금 헌납 등 그 폭을 더욱 확대하고, 계열사 독립경영 강화,투명성 제고 등 조직혁신을 천명하고 나선 것이 이를 말해준다. 뿐만 아니라 경영권 안정 차원에서 제기했던 공정거래법 관련 헌법소원 등 주요 소송을 취하하고 나섰고,삼성경영에 대한 쓴소리도 적극 수용하겠다는 자세를 분명히 했다. 기업으로선 결코 쉽지 않은 결심이다. 삼성이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기업이 되겠다며 변화를 택했다면 더 이상 이를 편견이나 사시를 가지고 바라볼 이유는 전혀 없다는 게 우리 생각이다. 오히려 그런 결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우리 사회도 이에 화답할 필요가 있다. 따지고 보면 반삼성,반기업 정서에는 삼성 탓으로만 돌릴 수 없는 부분도 분명히 존재한다. 시장경제에 대한 왜곡(歪曲)된 인식,기업의 존재 이유나 현실에 대한 몰이해가 그런 정서를 부추긴 측면도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투자와 고용창출 등 기업 본연의 사회적 기여도에 대해 우리 사회의 평가가 너무 인색했던 것은 아닌지도 되돌아 볼 점이다. 기업과 사회의 의사소통과 동반발전은 어느 한쪽만의 노력으로 되는 게 아니라 서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비로소 가능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