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내 사교육을 학교 안으로 완전히 흡수하겠다." 26일 청와대에서 '방과후 학교'와 관련된 정책토론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청와대의 의지를 이렇게 전했다.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18일 대(對)국민 연설에서 강조했던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이 '방과후 학교'라는 것이 김 부총리의 해석이었다. 방과후 학교와 관련,노 대통령은 이날 "어려움이 있더라도 교육적 효과가 큰 정책이므로 우리의 자원과 역량을 모두 동원해 꼭 성공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해 이 같은 판단을 뒷받침했다. 교육부가 방과후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을 학생부에 기재하기로 결정한 것은 '방과후 학교 활성화=사교육비 부담 경감'이란 논리를 믿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신뢰성 있는 검증절차가 마련된다면 학생부에 기재된 방과후 학교 성적은 기존의 내신성적, 수능, 대학별고사와 함께 대입 입시전형요소의 새로운 '축'이 될 수도 있다. 방과후 학교란 학원강사 원어민교사 대학생 등이 독서 토론,영어 말하기 등 다양한 교과목을 학교 교실에서 지도하는 제도를 뜻한다. ◆수혜학생 18만5000명 우선 올해 18만5000명의 학생이 방과후 학교의 혜택을 누리게 된다. 교육부는 도시지역의 경우 저소득층 및 맞벌이 부부 자녀들의 학교 밖 사교육 수요를 대체할 수 있도록 30개 지역,160개교 12만명에게 방과후 학교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농·산·어촌 지역에서는 9개 군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135개교 4만5000명을 대상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방과후 학교 사업을 벌일 방침이다. ◆대학생 적극적으로 활용 올해는 강사 재원으로 활용해온 학원강사 외에 대학생들이 교육 주체로 대폭 참여한다. 대학생들은 국가의 보조를 받아 저소득층 자녀들을 대상으로 '과외교사' 노릇을 하게 된다. 김 부총리는 "명문대 학생들을 '교사' 겸 '멘토'로 두면 저소득층 자녀들의 사회에 대한 귀속의식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일단 서울대에 협조를 구하고 있다. 김 부총리는 또 "정운찬 서울대 총장을 만나 학생들이 방과후 학교에 멘토링으로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방과후 학교 운영은 학부모 단체가 맡는 것이 가장 좋고 지역 교육대나 사범대가 운영 주체로 나서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방과후 학교 제도를 반대하는 학원들을 무마하기 위해 운영사로 대형 학습지 업체들은 배제하기로 했다. ◆사교육 선택기회 축소 우려 이번 결정에 대해 일부 학부모들은 사교육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자칫 침해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에 사는 김 모씨(45)는 "방과후 학교에 신뢰가 가지 않는다"며 "학생기록부에 반영된다고 하는 만큼 자녀를 안 보내기도 뭐해 고민이 크다"고 말했다. 방과 후 학교가 정착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일단 관련 법의 국회 통과가 시급하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초중등교육법 23조2항에 방과후 학교의 핵심인 '수익자 부담원칙' 등을 법에 명시하기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해 왔지만 기존 학원들과 일부 정치인들의 반발로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이다. 떨떠름해 하는 교사들을 다독거려야 하는 것도 과제다. 방과후 학교에 출강하는 강사들과 교습능력이 비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방과후 학교에는 영어 수학 등 주요 과목의 심화과정도 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