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리포트] 자본시장통합법, 은행권도 바뀌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정부가 대형 투자은행을 탄생시키고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 자본시장통합법 제정에 나서면서 은행계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최진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정부가 추진중인 자본시장통합법은 증권과 선물거래법,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을 총괄해 금융권의 빅뱅을 유도한다는게
골자입니다.
은행과 보험사 중심이던 금융시장애서 증권사를 축으로 대형 투자은행 설립을 유도하겠다 것입니다.
상황이 이렇자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를 자회사나 계열사로 보유한 은행들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CG1) 산업은행-금융투자회사 (예상)
++
동북아 리딩뱅크가 목표인 산업은행의 경우 통합법 취지에 맞게 3개 관계회사를 통합시키면 대형 금융투자회사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S1) (3개 지주회사도 대책마련 시급)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캐피탈 등을 자회사로 보유한 우리와 신한, 하나금융지주도
자회사간 통폐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특히 이들은 은행과 증권사간에 투자은행(IB) 사업부를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어 자본시장 통합법에 더욱 민감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S2)(농협-국민도 금융투자회사 결정 필요)
최근 세종증권 인수를 결정한 농협중앙회나 단골 증권사 인수후보인 국민은행도 금융투자회사에 대한 의사결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설명입니다.
(CG2) (은행권 제휴현황)
(국민은행 - ING그룹)
(우리금융 - 리먼브러더스)
(신한지주 - BNP파리바)
(하나지주 - 알리안츠,골드만삭스)
여기다 빅 4 은행들은 대부분 해외 대형금융그룹과 제휴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과의 관계강화를 통한 돌파구 마련도 가능합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별로 금융투자회사 설립 여부를 국내외 안팎의 상황을 고려해 고민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정책상 은행권이 자본시장통합법의 직접적인 대상이 아니고, 통폐합을 시도할 경우 내부적인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S3) (영상편집 이주환)
따라서 은행계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합종연횡은 정부정책에 대한 호응 수준이 아니라 자신의 전략적 위치와 능력에 맞게 결정되야만 할 것으로 보입니다.
와우TV뉴스 최진욱입니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