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비즈 등 혁신형 중소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자금 지원과 육성을 위해 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비은행권 중심의 금융지주사를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제재무분석사(CFA)인 김동기 변호사는 15일 한국경제신문과 중소기업연구원의 공동 주최로 르네상스서울호텔에서 열린 '제1회 이노비즈 금융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통해 "은행 중심의 현 금융시스템은 리스크관리에 대한 시스템적인 접근이 없어 우량기업에 자금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체계"라며 "고위험의 혁신형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서는 새로운 금융시스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변호사는 신금융시스템의 구비 요건으로 △리스크를 흡수할 수 있는 규모 △리스크 분산이 가능한 다양한 금융상품 △리스크 관리를 위한 선진 금융기법 △전문 금융인력,기술·경영평가 노하우 등 인프라를 꼽았다. 또 이 같은 금융시스템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혁신형기업지원센터 카드회사 신용평가회사(CB) 투자은행(IB) 보험사 등으로 구성된 비은행권 중심의 금융지주사 설립을 제시했다. 그는 "각 자회사들은 실시간으로 지원기업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고 지원업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기능통합적인 체계를 갖춰야 한다"며 "이렇게 되면 기존 중소기업 지원 금융에 대한 불신으로 혁신형 기업 투자를 꺼리는 연기금 등 유동자금을 끌어들여 효과적인 금융지원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 참가한 패널들은 기존 금융지원체계 및 관행의 문제점과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이날 제안된 방안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구본성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CB가 금융그룹의 한 자회사로 속해 제 기능을 발휘하기는 불가능하고 보험사가 기업에 직접 대출·투자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새로운 금융시스템보다 다양한 형태의 투자회사들이 많이 생겨 개인을 통한 투자를 활성화시키는 게 더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남기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카드사가 은행 역할을 맡으면 기업이 부담하는 금융비용이 올라갈 위험이 높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제안된 '금융지주사' 설립방안은 이노비즈IB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교보증권이 도이치뱅크코리아 등과 손잡고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결과가 주목된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