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에 대한 기대치가 상향 조정되고 있어 변액보험도 당분간 채권형 펀드 대신 주식편입 비율이 높은 주식형 펀드를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 나중에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이 좋아지면 손쉽게 갈아탈 수 있어 주식형 펀드를 선택하더라도 부담은 없다. 이 때문에 이미 채권형 펀드에 투자한 사람은 지금이라도 적립금 전부를 주식형 펀드로 옮기는 게 유리하다. 가입 비율은 여유자금의 70%는 주식형에,나머지 30%는 안정형(또는 MMF) 펀드에 분산투자하는 게 좋다. 변액(유니버설)보험에 가입했다가 중도 인출하거나 약관 대출을 받으면 펀드에 투자한 금액 중 해당 금액만큼 펀드 자산을 매각하게 된다. 특히 기준가격이 하락했을 때 중도 인출하거나 약관 대출을 받으면 헐값에 펀드를 매각하는 셈이므로 펀드 수익률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해결하려면 변액(유니버설) 펀드에 투자하려는 금액 중에서 70%는 주식형 펀드에 투자해서 수익률을 높이고,30%는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안정형 펀드에 투자해 유동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중간에 긴급자금이 필요하면 안정형 펀드에서 중도 인출하거나 약관 대출을 받으면 된다. 기준가격이 하락할 경우 안정형 펀드에서 주식형으로의 펀드 변경을 통해 추가 납입하면 수익률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변액(유니버설)보험에 가입할 때는 관리능력이 있는 보험설계사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주가는 일직선으로 오르지 않으며 대세 상승 중에도 오르락 내리락 굴곡이 있게 마련이다. 펀드 적립금이 늘었다가도 주가가 하락하면 그동안 벌어 놓은 이익 중 상당 부분을 까먹을 수 있다. 같은 날,같은 회사의 똑같은 변액(유니버설)보험에 똑같은 금액을 가입했더라도 펀드 관리를 얼마나 잘 했는지에 따라 나중에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이 달라진다. 이창형 문연아이디어뱅크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