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융시장에서도 인플레이션 우려로 투자자들이 채권을 팔아치움으로써 수익률이 급등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7일 인플레 압력이 가중되면서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당초 예상보다 더 오랜 기간 금리를 계속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돼 전 세계 채권 시장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26일 연 4.603%까지 상승,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리 변동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2년물 수익률은 연 4.438%로 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로존 지표 채권도 수익률 상승 우려로 이틀 동안 매도 물량이 쏟아졌다. 일본 국채 10년물 수익률도 26일 1.55%까지 상승,지난주 기록한 13개월 만의 최고치에 다시 바짝 다가섰다. 뉴욕 도이치뱅크의 채권거래 책임자인 제이슨 에반스는 "FRB 의장 지명자인 벤 버냉키가 인플레이션 목표제를 주장한 만큼 금리 인상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관측이 확산되고 있다"며 채권 수익률 급등의 배경을 설명했다. 유럽 및 일본 정부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점 역시 채권 매도를 부추기고 있다. 유럽 채권시장에서는 지난 25일 악셀 베버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이사 겸 분데스방크 총재가 "물가 압력이 계속해서 목표치를 웃돌 경우 ECB가 조치를 취해야만 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채권 매도 압력이 높아졌다. 한편 ECB와 FRB는 각각 다음주 정책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김선태 기자 k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