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동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알미어(Almere)시가 있다.


서울에서 서쪽으로 25km 정도 가면 바다를 메워 조성하고 있는 송도국제도시가 나온다.


두 도시의 매립면적도 5000만평에서 6000만평 정도로 엇비슷하다.


2020년까지 인구 25만명 이상의 첨단산업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도 같다.


해외 기업 유치를 도시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도 두 곳은 '닮은꼴 도시'가 아닐 수 없다.


◆훌륭한 생활 인프라가 투자 유치의 밑거름


1967년 첫삽을 뜬 알미어시의 매립작업은 9년 뒤인 76년 끝났다.


최근 몇 년 동안 농업 및 주거단지 중심에서 산업기반을 갖춘 복합도시로 탈바꿈하면서 네덜란드에서 가장 큰 매립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알미어시는 교육이나 교통 등 생활환경이 잘 갖춰져 있다.


암스테르담과 스키폴 국제공항을 각각 15분,25분 내로 주파할 수 있도록 고속도로가 나 있고 직통철도가 추가로 건립될 계획이다.


외국인 중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암스테르담 대학 이전사업도 이미 시작됐다.


올해 말이면 병실만 수백개에 달하는 대규모 종합병원이 문을 연다.


이뿐만 아니라 1000억원을 들인 종합문화 예술센터 완공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추가로 도서관 건립에만 4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 같은 생활 인프라는 알미어가 암스테르담의 그늘에서 벗어나 네덜란드에서 여덟 번째 큰 도시(인구기준)로 성장하는 데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130개가 넘는 외국기업이 알미어의 낮은 임대료와 생활환경에 만족해하며 유럽 본사와 지사를 이곳에 세웠다.


LG전자를 비롯 IBM,미쓰비시,파이어니어 등 세계 유수 기업이 입주해 있다.


도위 할베스마 알미어시 부시장은 "시 차원에서 공공시설 확충에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알미어에 입주하는 기업에 암스테르담의 3분의 1 가격으로 땅을 팔거나 장기 임대해 기업이 직접 필요한 시설을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이 해외기업 유치에 밑거름이 됐다"고 말했다.


◆공공주택 10%만 외국기업 몫


송도는 위치와 목표 면에서 알미어와 유사하지만 현실에선 딴판이다.


도시 건설 초기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미흡한 생활환경과 경직된 제도 때문에 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때 서울시 독산동에 있는 교환국을 인천 송도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했던 LG텔레콤은 지난해 말 이전 대상지를 서울 상암디지털 단지로 결정했다.


교통문제와 더불어 학교나 병원 등 기본적인 생활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던 것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송도에 입주한 셀트리온의 임직원은 교통과 문화시설 등 미흡한 생활환경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다.


송도의 발전을 가로막는 다른 요인 중 하나가 아파트 등 공공주택 공급제한 규정이다.


건설교통부의 주택 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투자기업에 종사하는 내외국인에게는 아파트나 주상복합 등 주택 공급물량의 10%에 대해서만 1순위 청약 자격이 주어진다.


하지만 송도에 입주한 국내 기업들은 이 10% 혜택마저 못 받고 있다.


외국인 투자기업에 주택 공급물량의 10% 우선 분양권을 줄 뿐 국내 기업에 다니는 임직원은 전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의 권오석 부장은 "아무 것도 갖춰져 있지 않은 허허벌판에 기업들은 절대로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며 "송도가 성공하려면 알미어처럼 단계적으로 도시 생활환경을 잘 갖추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알미어(네덜란드)=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