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밍싱 < 중국기업연합회 국제부장 > 최근 수년간 롄샹의 IBM PC사업 인수,하이얼의 미국 및 파키스탄 공업단지 건립,징둥팡의 하이디스 인수,중국해양석유의 미국 정유회사 인수 추진 등 중국 기업의 잇단 해외투자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기업의 해외투자가 활기를 띤 요인은 무엇일까. '3가지 동기'와 '3가지 여건'으로 분석해볼 수 있다. 해외시장을 개척해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고자 하는 게 첫 번째 동기다. 경제의 글로벌화로 중국기업도 이미 국내시장에 머무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세계시장 점유율 제고를 목표로 내걸고 효율적인 글로벌 생산체제와 마케팅 네트워크를 갖추려고 노력하고 있다. TCL은 프랑스의 톰슨과 컬러TV 및 DVD 사업을 합병함으로써 컬러TV 판매량을 연간 1800만대로 높이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10%로 끌어올림으로써 세계 1위로 올라섰다. TCL은 '톰슨'과 'RCA'라는 브랜드와 영업망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기술력과 경영관리 수준을 높이기 위한 게 두 번째 동기다. 수년간 발전을 거치면서 중국의 적지 않은 제품이 생산량에서 이미 세계의 앞자리에 서게 됐다. 그러나 대부분이 저부가가치에 머물고 있는,기술함량이 떨어지는 단순 노동집약형 제품이다. 기술수준과 첨단산업의 경영관리능력을 끌어올려 기술함량이 높은 지식집약형 제품의 공급능력을 강화하는 게 중국기업이 직면한 현실적인 도전이다. 중국기업들은 '받아들여서,소화하고,수준을 높여,혁신하는 시스템'을 강구해 제품 구조를 고도화하고 경영관리수준을 높이는 일종의 효과적인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경제의 지속적 발전에 필요한 전략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게 세 번째 동기라 할 수 있다. 세계경제가 발전하면서 광산과 에너지 등의 수요 역시 끊임없이 늘어나 값싼 양질의 자원 공급기지와 경로를 확보하는 게 기업의 생존 발전에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다음으로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걸맞은 국제경쟁력을 어느 정도 갖춘 게 첫 번째 여건에 해당한다. 중국기업은 개혁개방 이후 수년간 발전하면서 경공업 섬유 가전 등의 부문에서 비교우위를 높여왔다. 저우추취(走出去,해외진출)를 위한 기본 실력도 갖췄다. 필요한 투융자 능력과 인재자원을 구비한 것이 두 번째 여건이다. 중국의 우량 기업은 비교적 풍부한 자기자본을 쌓아 놓았을 뿐 아니라 높은 신뢰도와 브랜드에 기초한 대규모 자금 조달능력을 갖고 있다. 약 1조7000억달러에 달하는 중국 국내 저축은 우량 기업이 활용하기를 기다리고 있다. 국제자본시장 역시 중국의 우량기업에 주목하고 있다. 2004년 말까지 해외증시에 상장한 중국기업의 시가총액은 2800억달러를 웃돈다. 적지 않은 우량기업들은 발전과정에서 내부인재 육성에 심혈을 기울여 왔을 뿐 아니라 해외 등 외부로부터 국제수준의 인재를 적극 영입,최신 관리 지식과 글로벌 경영 경험을 겸비한 고급인재그룹을 갖고 있다. 끊임없는 개방형 경제시스템과 정책환경의 개선이 세 번째 여건이다. 위안화 환율 형성시스템을 적극적이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개선해 기업의 국제화 경영리스크를 완화하고,인수합병이나 투자기금 또는 해외증시 상장 등의 방식을 통해 국내외 투융자 경로를 확대하고,외화사용 조건을 완화해 대외투자의 융통성을 높여주는 것 등은 중국기업이 국제화 경영을 하는 데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고 있다. 경제의 글로벌화가 심화되면서 중국은 세계적으로 외자를 가장 많이 흡수하는 개발도상국과 세계 무역대국으로서 뿐 아니라 멀지않은 장래에 대외투자도 상당히 활발한 국가로 부상하면서 세계 경제발전과 국제산업 협력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