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1960~70년대 고도 성장기에 전국 각지에 건설됐던 '뉴타운'을 재개발하기로 했다. 뉴타운이란 지난 60~70년대 고도 성장기에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으로 부족한 주택난 해결을 위해 외곽에 만든 '베드타운'을 말한다. 현재 전국 49개 지역에 170여만명이 거주하고 있으나 건설된 지 30여년이 지나 시설이 노후되고 인프라 시설이 떨어져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젊은층이 출·퇴근이 편한 도심으로 이주하면서 고령자만 남아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11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뉴타운 재개발 사업은 올 하반기부터 5년간 4700억엔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정부가 교부금 등을 통해 1300억엔을 지원하며,나머지는 해당 지자체가 부담한다. 일본 정부는 또'신주택 시가지 개발법' 개정안을 내년 정기 국회에서 처리해 대상 지역의 토지사용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토지 이용 규제완화 및 상업시설 확충 △창업지원센터 설치 및 고용촉진을 위한 기업 유치 △주택이주 지원 △주택 단지 및 상업 점포의 재건축 유도 △유치원 초등학교 등을 복지 및 공공시설로 전환하는 내용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정부는 대도시 인근 지역인 도쿄 '다마'와 오사카 '센리'의 경우 도시개발계획을 새로 짜 신도시를 건설하기로 했다. 현재 베드타운 기능을 하고 있는 센리의 경우 대학 및 문화 시설을 대거 유치해 부도심 기능을 가진 도시로 만들 방침이다. 이들 지역에는 주민들로 구성된 '지역 주택 협의회'를 만들어 신도시 건설에 거주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기로 했다. 국토교통성 관계자는 "뉴타운의 주택은 40㎡ 이하 소형이 많아 거주 희망자가 적다"면서 "21세기형 신도시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도쿄=최인한 특파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