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간 석유 공동비축 노력이 이뤄지고는 있으나 최근의 정치적 긴장과 에너지원 확보 경쟁을 감안할 때 쉽게 실현되기 힘들 조짐이라고 다우존스가 25일 보도했다. 다우존스는 동북아가 오랫동안 중동 석유에 크게 의존해온 가운데 갈수록 에너지원 확보가 치열해지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석유 공동비축 실현을 위한 노력이 3국간에 이뤄져왔음을 상기시켰다. 전문가들은 한-중-일 3국 실무 관리들이 지난 3월 베트남에서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관계자들과 함께 만나 일본이 마련한 역내 석유 공동비축 방안을 논의했다면서 이것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현실이 여의치 못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전했다. 다우존스는 일본의 경우 내수 촉진을 위해 정유회사들이 비축량을 오히려 줄이도록 권고하면서 공동 석유비축이 자국에 미칠 득실을 계산하기 바쁜 상황이라고 전했다. 다우존스는 중국과 인도의 원유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일본이 최근 석유비축입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지난 2개월간 실무자들이 일련의 접촉을 갖고 입법의 타당성을 집중 점검했다고 전했다. 일본은 현재 `석유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충분히 대비할 수 있겠는가'와 `유사시 이웃 아시아 국가들에 일본 비축유를 줘야 하는가'의 2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춰 석유비축입법을 검토중이다. 일본은 166일 소비분에 해당하는 5억5천만배럴의 원유와 석유제품을 비축하고 있다. 이는 현행법에 규정된 민간 비축분 70일분 이상, 정부 비축분 90일분 이상을 모두 크게 초과하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도 공동석유비축 실현을 위해 접촉해왔다. 양국 석유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12월 베이징(北京)에서 만나 원유를 공동 구입하고 함께 비축하는 방안을 협의했다. 당시 한국측은 알제리 및 노르웨이와 합의한 것처럼 한국과 중국도 석유비축 설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석유 공동비축은 설비건설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도 효과적이라는 측면에서 타당성이 있다. 그러나 동북아처럼 유럽이나 북미에 비해 정치적 불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는 이런 경제 논리가 쉽게 통하기 어렵다. 반면 유럽의 경우 이미 공동석유비축이 이뤄지고 있으며 아세안 역시 비슷한 방안을 협의중이다. 유럽은 몇몇 회원국이 유럽내 제 3국 소재 소금동굴에 원유를 공동 비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네덜란드는 독일, 벨기에 및 룩셈부르크와 원유비축설비 공유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고 미쓰비시연구소의 후지 히데아키 수석애널리스트가 다우존스에 전했다. 히데아키는 이론상으로는 중국이 여분의 한국 비축설비를 리스할 수 있다면서 이 경우 중국이 저유기술을 이전받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이 추진하는 자체 비축설비 공사비도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히데아키에 따르면 중국은 1단계로 30일 소비분인 1천280만t의 원유를 저장할 수 있는 4개 석유 터미널을 저장(浙江)성 닝보(寧波) 등에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나 그러아 철강값이 급등하는 바람에 당초 예상했던 60억위안이 아닌 100억위안이 소요될 전망이다.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1억2천300만t의 원유를 수입했다. 다우존스는 한-중-일의 경우 경제적 효율성은 분명하지만 `내 석유를 남의 설비에 비축하는 것'이 용이치 않을 것이라면서 더욱이 영유권 및 역사 재평가 문제로 정치적 갈등이 고조된 상황에서 석유 공동비축 프로젝트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도쿄 AP=연합뉴스) jks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