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유학을 다녀온 중ㆍ고교생 가운데 상위권 및 하위권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비유학 자격 기준에 대해서도 학부모ㆍ교사 과반수가 중졸 이상으로 제한하는 등 규제 필요성에 공감했지만 처벌보다는 학부모 인식을 바꾸기 위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5일 서울 을지로 은행회관에서 한국교육개발원(KEDI) 주최로 열리는 `조기유학 정책포럼'에서 김홍원 KEDI 학교교육연구본부장은 학부모 3천633명, 교사 555명, 조기유학 업무 담당자 196명, 조기유학 경험 학부모 316명 및 학생 347명 등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런 내용의 주제발표를 한다. 김 본부장이 24일 미리 배포한 `조기유학에 관한 국민의식과 실태'라는 제목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자신의 학업성취도가 상위 10% 이내라고 대답한 고교생은 유학 가기 전 50.4%에서 유학 당시 54.4%로 늘었으나 다녀온 뒤에는 31.5%로 급격히 낮아졌다. 하위 50%는 유학 전 4.3%에서 유학 당시 6%, 귀국 후 14.7%로 증가했다. 중학생도 상위 10% 이내는 유학 전 38.2%에서 유학 당시 48.5%로 급증했으나 귀국한 뒤 18.7%로 뚝 떨어졌고 하위 50%는 7.8%에서 5.1%로 줄었다 18.7%로 늘었다. 고교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즐거움도 `높다'는 비율이 유학 가기 전에는 72.2%에서 유학 당시 88.7%로 크게 높아졌으나 다녀온 뒤에는 67.5%로 낮아졌으며 중학생도 엇비슷했다. `친지나 친구에게 자녀의 조기유학을 권하겠느냐'는 질문에 "적극 권유하겠다"는 응답이 15.4%에 불과한 반면 "말리거나 신중하게 생각하고 결정하도록 하겠다"는 대답은 84.6%였다. 조기유학에 대해서는 찬성(학부모 21.1%, 교사 16%)보다 반대(학부모 55.7%, 교사 59.4%)가 많았다. 반대 이유는 "성공보다 실패 가능성이 크다"거나 "가족 별거에 따른 문제가 많다",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이 가중된다", "사회적 위화감이 생기고 학력이 대물림된다" 등이었다. 그러나 많은 학부모가 조기유학에 관한 얘기를 들으면 불안하고(67.9%) 매년 증가하는 조기유학자와 비용을 보면 걱정스러우며(90.7%), 여건만 되면 조기유학을 보내고 싶어 하는(34.4%)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자비유학 자격이 `중졸 이상 학력'이라는 법적 기준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학부모는 20.7%, 교사는 29.9%에 불과했고 지켜지고 있다고 여기는 학부모나 교사도 10% 안팎이었다. 아울러 자격을 제한하는 법규가 필요하다는데 학부모(55.5%), 교사(61.8%), 장학사(71.4%) 모두 공감했고 지금처럼 중졸 이상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했지만 위반시에는 벌칙 부과보다 규제법규에 대한 홍보를 강화, 학부모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중졸 이전 조기유학이 불법이지만 제재나 처벌도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