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 위안화 절상에 대해 전방위 압박에 나서고 있다. 미국 의회에 이어 조지 W 부시 대통령을 비롯한 미 행정부가 17일 중국측에 '즉각적인 조치'를 촉구하고 나서는 등 미국과 중국의 '환율전쟁'은 전면화되는 양상이다. 유럽과 국제통화기금(IMF)도 점차 위안화 절상 요구 수위를 높이고 있어 지난 95년 이후 10년째 페그제(고정환율제)를 고집하고 있는 중국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재계와 의회가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상을 요구한 데 이어 이번에는 미 행정부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고 이날 보도했다. 미 행정부는 특히 이제까지의 온건한 자세에서 벗어나 중국측에 "지금은 곧바로 행동에 나서야 할 때"라며 즉각적인 조치를 촉구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FT는 미 정부 한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지금은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미국은 중국측에 즉각적인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존 스노 미 재무장관은 지난 16일 선진7개국(G7) 회담 폐막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그동안 환율 변동 폭을 확대할 준비를 해왔고 이에 맞춰 금융시스템도 정비해왔다"며 "중국이 위안화 페그제를 포기할 시점이 이미 왔다"고 톤을 높였다. 존 테일러 재무차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우리는 중국이 지금 당장 유연한 환율체제로 갈 수 있을 만큼 준비가 돼 있다고 수차례 강조했었다"며 중국 정부를 압박했다. 또 티에리 브르통 프랑스 재무장관도 "위안화가 저평가된 것은 분명하므로 중국이 이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가세했다. 이에 앞서 부시 대통령은 14일 미국 신문편집인협회 회의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위해 중국이 유연한 환율제도로 이행하도록 중국측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 행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주말 워싱턴에서 열린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담에 중국 정부가 대표급 인사를 파견하지 않은 데 대한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G7 회담 불참은 미국의 압박에 대해 중국 정부가 거부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미국은 G7 회담 공동성명에 중국을 압박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넣을 것을 요구했으나 일본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다니가키 사다카즈 일본 재무상은 "중국도 의사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무리하게 압력을 행사할 경우 오히려 부작용이 크다"고 주장,성명서를 '톤-다운'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로드리고 라토 IMF 총재도 지난 주말 춘계정례회의에서 "아시아 국가들이 좀 더 유연한 환율제도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간접적으로 중국의 위안화 절상을 촉구했다. 김선태 기자 k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