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KT&G가 담뱃값 추가 인상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계속하고 있다. 복지부는 11일 담뱃값을 올린지 3개월이 지난 3월말 현재 성인 남성 흡연율이 53.3%로 지난해말 57.8%보다 떨어졌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았다. 담뱃값 인상이 흡연율을 낮추는데 별무효과라는 최근 KT&G측 조사결과에 대한 재반박인 셈이다. 이에 대해 KT&G 관계자는 "신년초 금연분위기나 웰빙을 중시하는 사회풍조같은 요소들은 무시한 채 가격효과만을 강조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공박했다. 사실 조사결과라는 것은 표본 선정이나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주최측'의 입맛에 맞출 여지가 있다는 뜻이다. 복지부와 KT&G의 서로 다른 결과도 양측 입장차를 고스란히 대변한다. 복지부로선 담뱃값을 또다시 올리기 위한 '당위성'을 담보해야 하고,KT&G로선 금연효과를 내세운 담뱃값 인상을 막기 위한 '논리'를 개발해야 하는 입장이다. 담뱃값 인상 효과가 나오는 날마다 공교롭게 '담배도둑 극성'이라는 KT&G발 뉴스가 전해지는 것도 어찌보면 이런 맥락에서 읽을 수 있다. 담뱃값이 비싸지면 금연효과가 올라가는 것이야 당연지사다. 흡연율을 놓고 소모적 공방을 벌일 바에야 차라리 '공동연구'를 해버리면 그만이다. 하지만 금연을 지상과제로 삼고 있는 복지부가 보다 고민해야 할 것은 서민 흡연자 문제다. 담뱃값 인상에 가장 민감한 이들이 저소득층일진대 복지부가 만만한 가격정책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도 분명 존재한다. 담배 끊기란 자신과의 지난한 싸움이다. 오죽했으면 담배 끊은 사람과는 상종하지 말라는 말까지 있을까. 팍팍한 삶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담배 한대 '꼬실리며' 달래는 서민 흡연자들이 금연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다각적인 배려와 대책을 반드시 강구해야 한다. 자칫 담뱃값 인상이 이들에게 '울며 담배끊기'아닌 '울며 담배피기'로 끝나버릴 수도 있어서다. 김혜수 경제부 기자 dear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