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998년 8월 31일 쏘아올린 발사체가 인공위성(북한 `광명성 1호 인공지구위성'으로 부름)이라는 정보 당국의 공식 발언이 7년만에 나와 미묘한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이같은 발언은 북한이 지난 10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핵무기 보유를 공식선언해 북한의 실제 핵능력과 미사일 능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나와관심을 모으고 있다. 고영구 국정원장은 24일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대포동 1호(2000㎞급)는 98년 8월 인공위성(광명성 1호) 발사시 운반체로 사용된 바 있고, 대포동 2호는(6000㎞급)는 현재 로켓 엔진을 개발하고 있는 단계로 보인다"고 밝혔다. 여기서 주목되는 대목은 '인공위성'이라는 용어를 쓴 부분. 국정원에서는 북한이 1998년 8월 31일 쏴 올린 물체가 인공위성이라는 사실을 고 국정원장의 발언 이전까지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이 없었다. 북한의 `광명성 1호' 발사 당시 한ㆍ미 등 외부세계에서는 그것이 인공위성 발사였다는 사실을 인정하길 꺼렸다. 발사 2주일 뒤인 98년 9월 14일 제임스 루빈 미 국무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한은 아주 소형의 인공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실패했다"고한차례 `인공위성'을 언급했을 뿐이고, 한국 역시 미측 발표를 인용해 그날 하루만`실패한 인공위성'이라고 불렀고 그 후에는 정부 당국자든 언론이든 `대포동 1호 미사일'로 지칭해 왔다. 오히려 천용택 전 국방장관은 같은 날 운반체(vehicle)의 가공할 잠재적 위협을의식해 미사일일 가능성을 상기시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이후 언론과 국민들 사이에는 북한이 `대포동 1호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인식이 자연스럽게 자리잡았다. `대포동'은 함경남도 화대군 무수단리의 옛지명으로, 외부 관측자들이 갖다 붙인 북한 미사일 명칭이다. 인공위성을 미사일 발사로 둔갑시킨 데 대해 북측이 반발하는 것은 당연한 일.북한 외무성은 담화를 통해 "최근 우리 공화국(북한)의 평화적 위성활동을 '미사일발사'로 오도하는 적대세력의 책동이 절정에 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측 주장은 유엔이 인정하는 우주이용 권리를 이용하는 차원에서 인공위성인광명성 1호를 발사했는데, 대북 적대세력들이 미사일 발사쪽으로 여론을 몰아갔다는것이다. 북한은 이전부터 일관되게 미사일을 개발하든, 인공위성을 쏴 올리든 주권행사에 속하는 사안이라고 주장해 왔다. 한편 국정원은 "한ㆍ미 당국은 (1998년 당시)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와 함께 다단계 미사일 성능시험을 위해 대포동 1호를 발사한 것으로 평가했다"면서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해명했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k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