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부패 청산을 위한 제도개선에 소극적인 중앙행정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공기업 등의 조직과 인력을 줄이기로 했다. 정성진 부패방지위원장은 3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각계 인사 1백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05년 부패방지평가 보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부패방지정책 추진방향을 보고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부패가 빈발함에도 제도 개선에 소극적인 기관에 대해 조직과 인력의 삭감을 검토하겠다"며 "부패가 계속 발생하는데도 대책이 없는 기관이나 관련 공무원에게는 제재와 충격을 가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부방위는 또 정부 공사 발주 및 과거 인·허가 과정에서 뇌물을 제공한 부패전력자에 대해서는 입찰 참가 배제 등 불이익을 주는 '부패전력자 실격제'(Corruption-drop)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노 대통령은 시민사회단체인 반부패국민연대의 '반부패 투명사회협약' 체결 제의에 대해 "좋은 제안인 만큼 꼭 성공하길 바라며 국민들이 함께 동참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업 분식회계 처리 논란과 관련,노 대통령은 "과거의 분식을 어떻게 할 것이냐를 놓고 우리 사회가 고심하고 있으나 그런 고심을 해가면서 서로가 함께 감당할 수 있는 속도를 만들어 나감으로써 저항을 이겨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점도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승욱·허원순 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