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6일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일본의 철강 전기전자 등 11개 업종은 이산화탄소(CO₂) 배출 삭감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30개 주요 업종을 대상으로 CO₂등 온난화 가스 배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석유 화학 자동차 등 13개 업종은 이미 배출 삭감 목표를 달성했다고 2일 발표했다. 반면 11개 업종은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해당 업체들이 에너지 절감 노력을 강화하고 다른 국가와 배출권 거래를 활용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석유 화학 등 13개 업종은 2003년 시점에서 이미 2010년까지의 온난화가스 삭감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가스 배출량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적어 배출량 삭감 목표가 '달성 가능'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또 가스 광업 등 6개 업종은 아직 목표에 미달했지만 '달성을 향해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공작기계 전력 등 11개 업종은 온난화가스 배출 삭감을 위해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전기전자 업종의 경우 액정 및 반도체 등 대규모 설비투자가 예정돼 가스 배출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설비 증설 경쟁이 불붙은 철강업과 원자력 발전소 가동이 중단된 전력업도 가스 배출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경제산업성 관계자는 "석유 가스 전력 철강 전기전자 전선 등 6개 업종은 배출권을 사오거나 해외에서 배출 삭감에 유용한 사업을 실시,그 삭감분을 양도받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교토의정서에 따라 일본은 CO₂등 온실가스를 2008년부터 2012년 사이에 1990년 배출량보다 6% 삭감토록 의무화돼 있다. 작년 가스 배출량은 지난 90년보다 6% 증가했다. 도쿄=최인한 특파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