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13일 올해 국정 운영과 관련,"중소기업을 경제정책의 중심에 두고 중소기업정책 자체를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신년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과거의 단순한 보호·육성 차원을 넘어 기술과 사업성을 철저히 평가,지원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3만개의 기술혁신형 중기를 육성해 다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성장을 이끌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 성장의 핵심인 부품소재산업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범정부적인 핵심 원천기술 개발체제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2백70만명에 달하는 자영업·소상공업 대책과 관련,"상반기 중 영세자영업자 문제의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겠다"며 "올해 안에 중소기업 대책의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해 (국민들에게) 제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특위 등은 오는 17일 구체적인 중소·벤처기업 지원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며 노 대통령도 연중 중기육성 관련 행사와 회의에 적극 참석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 회생을 위한 대기업 총수들과의 개별 회동 가능성에 대해 노 대통령은 "못 만날 이유도 없다. 만나서 고견을 들어보고 싶다"면서도 "그러나 시중에서 얘기하듯 총수를 만나 투자를 독려하는 것은 필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지금은 관치경제 시대가 아니며 정부가 규제나 권력으로 기업을 좌우하던 시대는 지나갔고 (회동에서) 개별적으로 줄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이후의 성장·분배 우선 논란에 대해서는 "분배와 성장은 둘 다 중요해 두 마리 토끼의 관계가 아니며 함께 가지 않으면 둘 다 성공할 수 없는 일"이라며 정책 추진과정에서 두 목표를 함께 추구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한편 남북정상회담 개최 여부에 대해 노 대통령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주제에 관계없이 응할 용의가 있다"며 "그러나 우리 희망일 뿐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최근 '이기준 인사파동'과 관련,노 대통령은 "능력 외에도 도덕적인 하자가 있는지 여부의 검증을 앞으로 청와대 바깥의 다른 기관에 맡기는 쪽을 생각하고 있다"며 "부패방지위원회가 맡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