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각 지자체와 민간 건설현장의 토사 반입·반출 정보를 인터넷으로 실시간 공유하는 '사이버 흙 은행'(soilbank.seoul.go.kr) 시스템을 내년 1월17일부터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이버 흙은행'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흙의 양과 필요로 하는 흙의 양을 실시간으로 검색,빠른 시간내에 흙 거래가 이뤄지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서울시와 수도권 일대 시·군,공공기관,민간건설업체 등이 회원으로 가입해 흙 반출·반입 신청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로건설을 맡은 A업체가 공사현장에서 1t의 흙이 발생했다는 정보를 흙은행에 등록하면 1t의 흙이 필요한 B업체가 이 정보를 조회,필요한 흙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시는 사이버 흙은행을 통해 공사현장간 흙 거래가 활성화되면 각종 처리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현재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흙은 공사 담당업체가 재활용하지 않을 경우 1㎥(1.44t)당 1만6천원의 운반비용을 부담하고 김포매립지로 보내야 한다. 가령 A업체가 진행하는 공사현장에서 1만t의 흙이 발생했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다른 공사현장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1억원가량의 흙 처리비용이 드는 셈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흙 발생량과 필요량을 실시간으로 중개하는 시스템이 없어 공사업체들이 공사 중 발생한 흙을 재활용할 곳을 찾기가 힘들었다. 이 때문에 일부 공사장에서는 김포매립지로 보내는 운반비용을 줄이기 위해 지정되지 않은 장소에 무단투기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해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3월부터 흙 은행을 시범실시한 결과 서울지역의 19개 공사장에서 17억원가량의 토사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며 "내년 말 흙은행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하면 약 1백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는 물론 무단투기 등의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